재고쌀의 대북지원이 당분간 어려워진 가운데 당장 400만석 정도를 사료용 등으로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박동규(朴東奎) 연구위원은 19일 연구원 주최로 열린 '쌀재고문제의 전망과 대책' 정책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쌀시장 안정과 수매에대비한 창고 확보를 위해 수확기 이전에 최소한 400만석의 재고쌀을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재고쌀 처리 방안과 관련해서는 많은 물량을 빠른 시일내에 처리할 수 있는 사료용 사용을 적극 추진하고 주정용 및 맥주용 사용도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그는 강조했다. 박 위원은 "식용으로는 품질이 떨어지는 98∼99년산 쌀중 300만석을 사료용으로신속하게 처리하고 주정용,맥주용,가공용 등으로 100만석 정도가 추가 소비되도록해야한다"고 설명했다. 박 위원은 이어 "쌀 재고의 증가가 생산량 증가와 소비 감소 등 구조적 원인에의한 것인 만큼 향후 2∼3년동안 재고 처리 문제가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하고 "서해교전으로 당분간 어려워진 대북지원은 비용이 가장 적게 소요되는 방식으로 여건조성에 따라 적극 추진될 수 있도록 준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 위원은 또 해외지원의 경우 절대 빈곤국들에 대한 무상원조를 국내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 확대와 병행해 추진할 필요가 있고 현물차관 방식의 지원은 쌀 수출국들의 문제 제기와 세계무역기구(WTO) 협정 위반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고지적했다. 한편 농림부는 이같은 재고쌀 처리 방안들에 대한 장단점을 분석하고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다음달중 재고쌀 처리 방식과 물량, 시기 등을 결정할 방침이다. (서울=연합뉴스) 이재웅기자 wo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