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오는 2010년 이후에 고령화로 인한 경제성장 둔화, 재정수지 악화 등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17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작성한 `비전 2011' 최종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00년 `고령화 사회'(노인 인구비율 7.13%)에서 22년만인 2022년에 `고령사회'(노인 인구비율 14%)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추세는 프랑스의 115년, 스웨던의 85년, 미국의 71년에 비하면 매우 빠르고 가장 급속한 고령화를 겪은 일본의 24년보다도 빠른 것이다. 우리나라의 이처럼 빠른 고령화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KDI가 분석한 결과, 경제활동 참가율이 2010년 64.3%를 고비로 2020년 64.1%, 2030년 62.6%로 떨어지고 취업자 수는 2030년 이후에 급감할 것으로 예측됐다. 또 경제성장률은 2010년 5.2%로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을 한 뒤 2020년에는 3.2%, 2030년에는 1.7%로 크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KDI는 "노인 인구의 증가는 근로기간에 저축했던 돈으로 생활하는 계층이 늘어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경제 전체의 저축감소를 초래하고 그 결과 투자가 위축돼 경제성장이 둔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취업자 수의 감소, 경제성장의 둔화가 조세수입 및 사회보험료 수입의 감소를 초래해 재정수입은 줄어드는 반면 연금 급여, 노인의료비 등 재정지출은 급증할것이라고 지적했다. KDI는 따라서 2011년 이전에 고령화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하고 그 방안으로 퇴직시기 연장, 기업연금 도입, 연금 급여수준 하향조정 등을 제시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문성 기자 kms123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