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서울의 한 전통시장의 과일 판매대 모습./ 연합뉴스
3일 서울의 한 전통시장의 과일 판매대 모습./ 연합뉴스
오는 2033년까지 축구장 4000개 면적의 사과밭이 사라질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재배 면적이 줄어들면 생산량도 감소할 수 밖에 없어 사과 가격 인상이 장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지난해 생산량이 급감한 사과 가격은 1년새 두 배 넘게 올랐다.

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 전망 2024 보고서’에 따르면 2033년 예상되는 사과 재배면적은 3만900㏊(헥타르)로 올해(3만3800㏊)와 비교해 8.6% 줄어들 전망이다. 9년 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면적은 축구장 4000개 면적에 해당하는 2900㏊다. 특히 품종 갱신과 노령화에 따른 폐원 등으로 인해 성목(다 자란 나무) 면적이 큰 폭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재배 면적 감소에 따라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농촌경제연구원은 2033년 사과 생산량이 48만5000t일 것으로 예측했다. 올해(50만2000t)와 비교해 3.4% 줄어든 수치다. 점진적인 생산량 감소로 1인당 사과(후지 상품) 소비량도 올해 9.7㎏에서 2033년 9.5㎏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생산량이 급감한 사과 가격은 치솟았다.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가격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전날 사과의 ㎏당 도매가는 5141원으로 1년 전(2331원)과 비교해 120.6% 올랐다. 냉해와 서리 등 봄철 저온 피해로 착과(열매가 달리는 것) 수가 줄었고, 여름철 잦은 강우와 집중호우로 낙과가 증가한 탓이다. 여기에 지난해 수확기에는 탄저병·겹무늬썩음병 발생이 늘며 생산량은 급감했다.

사과 값 폭등에 농림축산식품부와 대형마트 업계는 최근 ‘못난이 과일’ 판매 촉진에 나섰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지난달 29일 서울 이마트 용산점을 방문해 “장바구니 물가도 덜고 유통업계도 공급에 여력을 가질 수 있도록 모양은 조금 못하지만 맛과 영양이 정상과 못지않은 비정형과와 소형과를 지속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