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치구별 인구 1만 명당 공공와이파이 설치 대수 격차가 최대 8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전역의 공공와이파이를 확산하기 위해 시작한 스마트 서울 네트워크 사업이 통신사들 반발에 부딪혀 중간에 동력을 잃은 탓으로 분석된다.

15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 1월 기준 서울에 설치된 공공와이파이는 총 3만3266대다. 이 중 2만4218대는 고정형, 9048대는 이동형이다. 고정형은 주로 공공기관과 주요 거리에, 이동형은 버스와 지하철 역사 등에 설치된 중계기를 말한다.

설치 장소별로는 시내버스 7380대, 공공기관 5941대, 복지시설 4908대, 주요 거리 4255대, 공원 3690대 순이었다. 전통시장이 821대로 가장 적다.

자치구별로는 강서구가 1590대로 공공와이파이 인프라가 촘촘한 편이다. 중구(1488대)와 노원구(1214대)가 뒤를 이었다. 가장 적은 곳은 강북구로 강서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666대에 그쳤다. 종로구(682대), 성북구(690대)도 700대를 밑돌았다.

인구 1만 명당 설치 대수로 계산하면 격차는 8배까지 벌어진다. 관광 명소와 사무실이 몰린 중구는 112.9대, 종로구는 45.33대로 집계됐다. 관악구는 13.9대, 강남구 14.59대, 성북구 15.74대, 송파구 16.1대 순으로 와이파이가 적었다.

이렇게 격차가 벌어진 이유는 서울시가 2019년 추진한 ‘스마트서울 네트워크’ 계획이 중간에 동력을 잃었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2020년 성동구와 강서구, 은평구, 도봉구, 구로구 등 5개 지역에서 서울시 공공와이파이(까치온) 사업을 시작했다. 2022년까지 총사업비 1027억원을 투입해 서울시 자가망인 에스넷을 토대로 시 전역에 공공와이파이 1만1030대와 공공사물인터넷(IoT) 망 1000대를 설치하기로 했다. 그러나 통신사들이 전기통신사업법을 근거로 공공이 민간 영역을 침범한다며 반발했다.

결국 과학기술정통부가 나서 국비로 중계기를 구축하고, 통신사가 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사업 내용이 바뀌었다. 관악구 관계자는 “정부는 통신사 협조를 얻어 사업을 추진하다 보니 시가 주도할 때에 비해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늘리려고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지난달 19일 전기통신법이 개정되면서 지방자치단체도 공익 목적으로 와이파이와 사물인터넷 사업을 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시는 올해 와이파이를 설치하는 예산을 넉넉히 반영하지 않아 자치구 간 와이파이 인프라 격차는 단번에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여인선 서울시 공공와이파이팀장은 “민선 8기 공약으로 와이파이를 2026년 2000대까지 신규 설치할 계획”이라며 “인프라가 부족한 곳 위주로 보완하겠다”고 설명했다.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