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공동 특별조사 '500㎞→5천㎞' 10배로 확대…인력·장비도 확충
지하시설물 체계적 관리…통합 시스템 구축·지반침하 위험지도 작성
서울시, 땅꺼짐 불안 없도록 내년 도로 5천㎞ 샅샅이 조사한다
서울시가 땅 꺼짐 사고 예방을 위해 내년 지반침하 우려 특별점검 구간 길이를 올해의 10배로 늘리고, 전담 인력과 장비도 2배 수준으로 확대한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지반침하 예방 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땅속 빈 공간인 지하 공동(空洞)은 빗물 유입으로 인한 토사 유실, 노후 상·하수관 파손으로 인한 지반 약화 등 여러 이유로 발생한다.

공동을 방치하면 땅 꺼짐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시는 매년 지하 공동을 탐사하고 있다.

시는 2014년부터 올해까지 10년간 서울 전역 1만8천280㎞에 대한 공동 전수조사를 했으며, 6천394개의 공동을 발견해 복구했다.

지난해까지 시 도로 전 구간에 대한 전수조사를 2회 완료했고, 올해부터는 3회차 전수조사에 돌입했다.

최근 10년간 공동 조사 구간은 60배로 확대됐고, 조사연장 1㎞당 공동 발견율은 0.61개에서 0.23개로 크게 줄었다.

하지만 강남구 언주역, 청담역 등에 크고 작은 땅꺼짐이 발생함에 따라 시는 한층 강화된 지반침하 예방 대책을 수립했다.

시는 해빙기와 우기를 전후해 시행하는 특별점검을 올해 500㎞에서 내년 5천㎞로 확대한다.

우선 지반침하 우려 구간 1천850㎞를 선정하고, 해당구간을 2∼4회 반복 조사하는 방식으로 연 5천㎞를 점검할 계획이다.

강화된 특별점검을 위해 전담인력과 장비도 확충한다.

탐사 전문인력을 3명에서 6명으로, 차량형 지표투과레이더(GPR) 조사장비는 3대에서 5대로 늘린다.

이를 통해 내년부터 5개조가 주당 100㎞를 특별점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2개조가 주당 40㎞를 점검했다.

연차별로 추진하는 정기점검은 매년 2천200㎞의 보·차도에 대해 실시하도록 했다.

서울시, 땅꺼짐 불안 없도록 내년 도로 5천㎞ 샅샅이 조사한다
올해부터 시작된 3회차 전수조사(2023∼2027년)부터 보도구간도 조사에 포함했다.

기존 차도(6천863㎞)에 대해서만 실시하던 공동 조사를 보도(4천93㎞)까지 확장해 총 1만956㎞의 보·차도에 대한 연차별 정기점검을 하게 된다.

자치구에서 관리하는 구도(區道) 특별점검도 연간 1천852㎞에 대해 추진된다.

관리주체가 복잡하고 다양한 지하시설물을 통합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도 구축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지하안전부서의 업무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통합 지하안전관리시스템을 1단계로 구축해 올해부터 운영하고 있다.

내년에는 시스템을 고도화해 지반침하 조사구간을 과학적으로 선정하기 위한 지반침하 위험지도를 2단계로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관리 사각지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땅꺼짐을 예방하고, 신속한 원인 규명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 전역에 지반침하 관측망을 설치하고 데이터를 수집해 지하 안전을 과학적으로 관리하는 '서울시 지반침하 관측망'(가칭)도 2029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각종 공사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반침하 사고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굴착공사장 안전관리 강화에도 나섰다.

우선 굴착공사장의 지하안전평가 이행 여부를 올해부터 전수 점검하도록 했다.

기존에는 지하 10m 이상 굴착공사장에 대해 지하안전평가 이행 여부를 10곳에 한해 표본점검하는 데 그쳤다.

지하안전평가란 건설공사 사업 전 지하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지반 및 지질현황,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지반 안전성 등을 미리 조사하는 것으로 지반침하 등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실시된다.

공공 주도 공사장의 지반침하 사고예방을 위한 특별 조치도 시행하고 있다.

서울시 지하 10m 이상 모든 공공 공사장은 굴착 단계별로 공동 조사를 시행토록 해 지반침하 사고를 예방한다.

최진석 서울시 재난안전관리실장은 "땅속 빈 공간은 지반침하를 유발하는 위험요인으로 신속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지반침하 위험지도를 활용한 지하 공동 조사 등 예방 활동을 더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