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처음으로 e스포츠 대회의 거리 응원전이 열렸다. 매년 수억 명의 관중들을 동원하며 일명 ‘롤드컵’이라고도 불리는 리그 오브 레전드(LoL·롤)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을 초대형 전광판으로 중계한 것이다. 그 덕분일까. 이번 대회에서 우리나라는 작년에 이어 우승컵을 거머쥐었다. 이번 대회 우리나라 대표로 출전한 e스포츠팀 T1은 7년 만에 세계 정상의 자리에 올랐고, 팀의 '간판 스타' 페이커(이상혁) 역시 또 한 번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페이커가 롤게임에서 최고의 선수로 군림하는 비결은 무엇일까. 책을 읽으면서 마음을 가다듬고 비운다고 페이커 스스로 밝히는 것을 보면 독서가 10년째 꾸준히 정상의 자리를 지킬 수 있는 내면의 힘을 길러준 게 아닐까 싶다. 현재 페이커가 읽은 책 목록은 SNS를 통해 공유될 정도로 화제이기도 하다.

이 뉴스를 듣고 발레의 데벨로페(développé) 동작을 떠올렸다. 차근차근 몸의 기초공사를 완성해야 제대로 할 수 있는 동작이기 때문이다. 데벨로페는 '발전된, 확장된, 펼쳐진'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양 다리를 턴아웃한 상태에서 한 다리를 축으로 세우고, 다른 다리는 무릎을 굽혀 발끝으로 축으로 세운 다리의 복숭아뼈, 종아리, 무릎을 순차적으로 지나다가 마지막 순간 움직이던 다리의 무릎을 펴면서 높이 드는 동작이다.

그 순간, 들어 올린 다리가 자신이 할 수 있는 가장 높은 높이로 확장되기 하기 때문에 이 동작에 데벨로페라는 이름이 붙었다. 한 다리는 세우고, 다른 다리를 든 상태에서 완벽하게 몸의 균형을 이뤄야 하는 동작이다. 그때 움직이는 다리를 앞으로 뻗으면 데벨로페 드방(développé devant), 뒤로 뻗으면 데벨로페 데리에르(développé derrière), 옆으로 들면 데벨로페 알라스공드(développé à la second)라고 부른다. 흔히 데벨로페라고 하면 데벨로페 알라스공드를 의미한다.
데벨로페 알라스공드 photo by Mark Sumaylo @Ballet Manila Archives
데벨로페 알라스공드 photo by Mark Sumaylo @Ballet Manila Archives
발레가 갖고 있는 기술적 요소나 몸의 가용범위는 다른 어떤 춤보다 강하고 넓다 보니 발레를 보거나 배우기 시작할 때 다리를 얼마나 ‘찢는지’, 얼마나 높이 드는데 곡예적인 요소에 대해 주안을 두고 이야기하는 경우는 종종 마주친다. 그런데 생각과는 달리 발레의 데펠로페는 들고 있는 다리의 높이보다는 다리를 든 상태로 버티고 견디는 게 더 중요하다.

움직이는 다리의 무릎을 똑바로 폈는가. 허벅지 안쪽 근육과 코어를 단단하게 잡고 오랫동안 버티면서 서 있을 수 있는가. 앞이나 뒤, 옆의 방향과 각도가 정확한가. 골반과 허리는 옆으로 빠지지 않고 잘 지탱하고 있는가. 아무리 다리를 높이 들어도 이런 부분들이 깨진다면 그건 데벨로페가 아니다. 정상을 찍는 것보다 정상에 도달했을 때 그것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평상시 바른 자세를 습득하고 끊임없이 체크하며 근육을 단단하게 키우는 힘이 중요한 것이다. 이것을 발레가 아니라 삶으로 치환해서 바라본다면 마음의 방향과 자세를 바로 세우고 마음의 근육을 키우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때마침 우리나라는 12월이면 발레 <호두까기 인형>으로 연말을 장식한다. 볼쇼이 버전의 <호두까기 인형>에서는 데벨로페가 주요하게 쓰이는 부분이 있는데 2막 ‘과자들의 나라’ 디베르티스망 중 인도 춤 장면이다. 여러 민족의 춤을 보여주는 이 디베르티스망 장면에서 인도 춤은 느린 선율에 맞춰 조용하게 수행하듯이 추는 춤사위로 이뤄져있다. 그래서 열정적인 에너지나 유쾌함이 묻어나는 다른 디베르티스망 춤들과 달리 처음에는 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오랫동안 <호두까기 인형>을 보아온 관객들 중에는 정확성과 근육의 힘을 느낄 수 있는 이 춤을 특별히 좋아하는 경우가 많다.
<호두까기 인형> 2막 ‘과자들의 나라’, 데벨로페가 주요하게 쓰인 인도 춤 @국립발레단
<호두까기 인형> 2막 ‘과자들의 나라’, 데벨로페가 주요하게 쓰인 인도 춤 @국립발레단
또 하나 대표적인 사례는 <라바야데르> 3막 ‘망령들의 왕국’에 등장하는 쉐이즈 군무이다. 32명의 여성 무용수들이 선보이는 이 군무는 배신을 당하고 죽은 연인을 떠올리는 전사 솔로르의 환영 속에서 펼쳐지는 장면이다. 쉐이즈들이 한 명씩 아라베스크하며 천천히 언덕을 내려오는 장면, 데벨로페로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부분은 이 작품의 백미이다.

오랜 세월 발레로 훈련한 근육, 정확한 각도와 방향, 이 모든 것을 32명의 무용수가 함께 선보이기 때문이다. 콩쿠르의 단골 레퍼토리이기도 한 라바야데르 쉐이즈의 솔로 장면의 경우 데벨로페 알라스공드뿐 아니라 데벨로페 드방, 데벨로페 데리에르, 각 방향이 데벨로페를 모두 선보인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라바야데르> 3막 ‘망령들의 왕국’ 중 쉐이즈 군무 장면, photo by Natasha Razina @Mariinsky Ballet
<라바야데르> 3막 ‘망령들의 왕국’ 중 쉐이즈 군무 장면, photo by Natasha Razina @Mariinsky Ballet
한 해의 끝 12월. 진정으로 중요한 기초공사나 내실은 뒤로 하고 다리의 높이에만 연연한 점은 없었는지 돌아본다. 데벨로페는 축이 되어 서있는 다리의 선을 따라 다른 다리가 움직이는 과정이 중요하고, 정점의 높이를 찍는 그 순간보다는 거기서 버티고 견디는 힘과 근육이 중요한 동작이다. 인생에서는 종종 속도보다 방향, 높이보다 지구력과 지속력이 중요한 경우가 많다는 걸 데벨로페를 통해 깨닫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