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이 사실상 지상전 단계로 전환하면서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지하 땅굴이 주목받고 있다. 이스라엘 입장에서 하마스의 거점이자 기습통로 역할을 하는 지하 땅굴을 공격하지 않고는 하마스 지도부를 섬멸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은 또 가자지구 내 병원을 하마스 지휘소로 지목하고 있어 병원이 직접적인 공격 대상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지상전 최대 변수는 '500㎞ 하마스 땅굴'
29일 AP통신에 따르면 가자지구 지하에는 총 500㎞에 달하는 지하 땅굴망이 구축돼 있다. 로이터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하마스의 지하 땅굴 길이는 약 360㎞로 과거 베트콩이 뚫은 땅굴의 10배 규모라고 전했다.

이스라엘군은 지상전과 공습을 통해 지하 땅굴을 무력화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군사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하지만 하마스가 땅굴 내부에 수많은 부비트랩을 설치해 병력 손실이 불가피하다. 이스라엘군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하 터널을 탐색할 수 있는 로봇과 드론, 스펀지 폭탄을 준비했다. 스펀지 폭탄은 폭발 물질이 들어있지 않지만, 투척하면 액체가 섞이면서 거품 형태로 부풀어 오른 뒤 바로 단단해져 땅굴 입구를 막는다.

이스라엘군이 병원도 공격 목표로 정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이스라엘군은 가자지구 내 가장 큰 병원인 알시파병원이 하마스 지휘소 역할을 한다고 보고 있다. NYT는 “이스라엘은 하마스가 민간인을 방패로 삼아 병원 등에서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해 병원과 이슬람 사원 등을 공격 목표로 정하고 있다”고 했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