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해외 대체투자 부실 등 미반영…보수적 접근 필요"
증권사 부실자산 증가세 가팔라졌는데…"실제로는 더 심하다"
증권사들의 부실 자산 증가 폭이 2배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는 차액결제거래(CFD) 사태로 인한 미수금 등이 반영된 결과로, 정작 증권업계의 대표적인 부실 위험인 해외 대체투자 손실은 건전성 지표에 제대로 인식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국내 증권사 법인 48곳의 고정이하 자산은 3조7천49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시기 증권사별로 고정이하 금액을 보면 신한투자증권이 6천613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메리츠증권(3천413억원), NH투자증권(3천59억원), 하나증권(2천746억원), 삼성증권(2천714억원), 한국투자증권(2천614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증권사 자산은 채무자의 상환능력 등 건전성을 고려해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로 구분된다.

고정이하 자산은 고정과 회수의문, 추정손실 자산을 묶어 부르는 용어로 통상 부실자산으로 분류된다.

증권사 고정이하 자산은 작년 6월 말에는 2조4천401억원, 같은 해 9월 말 2조2천893억원 등으로 2조원대 초중반을 기록했으나 지난해 12월 말에는 2조6718억원으로, 올해 3월 말 기준으로는 3조397억원으로 집계되며 점차 불어났다.

분기별 고정이하 자산 증가 폭을 보면 올해 3월 말까지 2개 분기 연속으로 3천500억여원 수준에 그쳤으나, 지난 2분기(4∼6월) 동안에는 7천96억원이 늘어났다.

다만 금융투자업계에서는 2분기 고정이하 자산 규모가 급격히 늘어난 것은 4월 말에 발생한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하한가 사태로 인한 미수금을 인식한 결과로, 실제 업계가 체감하는 부실 위험과는 동떨어져 있다고 보고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부실 자산들은 대부분 펀드 형태로 투자되고 있는데 펀드를 통한 투자 손익은 건전성 지표에 제대로 인식되지 않는다"며 "종속기업으로 처리되는 집합투자증권의 경우 종속기업은 원가법(취득할 때 지불한 금액으로 인식하는 방식) 평가라 최초의 장부가를 그대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최근 보고서에서 이 같은 증권사 건전성 지표의 '착시현상'에 대해 지적하기도 했다.

이예리 나신평 선임연구원은 국내 25개 증권사의 6월 말 기준 고정이하 여신(자산) 약 3조7천억원 가운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고정이하 여신은 1조2천억원에 불과하지만, 자체적으로 세운 보수적인 기준을 적용하면 6조원으로 증가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부동산 PF 고정이하 여신은 PF 영업을 적극 확대했던 2020년 말(4천억원) 이후 약 8천억원 증가에 그쳤다"며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위험 노출액) 상당 부분이 만기 연장되고 있으며 펀드 등 형태의 투자는 건전성 지표에 포함되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현재 증권사의 자산건전성 지표는 상당한 착시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당기손익인식(FVPL) 펀드·리츠·지분증권의 만기 시 매각가와 기중 감평가의 차이가 존재하고 원가법 적용 펀드 대부분이 만기까지 손실 인식을 진행하지 않는다"면서 "최근 손실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해외 (부동산) 익스포저 대부분은 펀드 형태로 구성돼있어 건전성 지표와 기중 손상인식 규모, 만기 시점의 최종 손실규모 간 괴리가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