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만에 한국을 방문한 데이브 릭스 일라이릴리 회장이 서울 중구 한국일라이릴리 본사에서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일라이릴리 제공
5년 만에 한국을 방문한 데이브 릭스 일라이릴리 회장이 서울 중구 한국일라이릴리 본사에서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일라이릴리 제공
“잠재력 높은 ‘위너(winner)’ 후보물질에 연구개발(R&D) 역량을 집중해 신약 개발 기간을 절반으로 단축할 수 있었습니다.”

데이브 릭스 일라이릴리 회장이 꼽은 회사 성장 비결이다. 2017년 회장 취임 직후 사업전략을 재정비한 게 당뇨·비만 치료의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는 ‘마운자로’ 개발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당뇨약으로 개발된 마운자로는 비만 치료약으로도 적응증을 확대해 수년 내 세계 매출 1위 의약품 자리를 꿰찰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릭스 회장은 “10년 뒤에도 릴리는 지금 개발 중인 혁신 신약을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과감한 사업 조정으로 신약 ‘올인’

비만약 게임 체인저 된 릴리…"위너 후보물질에 R&D 집중"
릭스 회장은 대학을 졸업한 1996년부터 25년 이상 줄곧 릴리에 몸담은 ‘릴리맨’이다. 마케팅, 영업, 신약개발 파트를 두루 거쳤다. 릭스 회장은 “회장이 되고 세 가지 R&D 전략에 집중했다”고 했다. R&D 기간 단축, 의약품 허가기간 단축, 위너 후보물질에 R&D 집중 등이 그것이다. 그는 “2016년만 해도 임상시험 첫 환자 투약에서 약물 판매허가까지 10년가량 걸렸지만 지난해에는 이를 5년으로 줄였다”고 했다.

선택과 집중 전략도 통했다. 릭스 회장은 “시장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신약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동물의약품 부문을 2018년 분사하고 특허 만료된 의약품 판권을 매각했다”며 “이런 크나큰 도전을 감수한 결과 현재 릴리는 창사 이래 가장 풍부한 중·후기 개발 단계 후보물질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릴리가 임상 1상과 2상, 3상을 진행 중인 후보물질은 각각 24개, 21개, 21개다. 매년 여러 개의 신약을 선보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셈이다.

○마운자로, 비만약 허가 땐 연 매출 33조

릴리는 당뇨·비만 치료의 새 역사를 쓰고 있다. 현재 당뇨약으로 허가받은 마운자로는 지난해 6월 출시 후 7개월 만에 58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투자은행 UBS는 비만약으로도 허가받으면 마운자로의 연 매출이 33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 판매 1위 의약품인 애브비의 휴미라(28조원)를 뛰어넘는 수치다.

릭스 회장은 “미국에선 지난 20년 동안 과체중 등으로 성인 당뇨병 환자가 두 배 늘어났다”며 “당뇨병에 대한 광범위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양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개발 중인 비만약의 약물 유효성을 다각적으로 보여주는 데이터를 많이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장에서는 릴리가 마운자로의 치료 질환을 심혈관질환, 수면무호흡증 등으로 확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릴리는 먹는 비만약도 개발 중이다. 릭스 회장은 “임상시험 피험자를 모집 중인데 이르면 2025년 임상 결과가 나올 것”이라며 “당뇨보다 비만의 임상시험 결과가 빨리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릴리는 장기지속형 주사제 개발과 함께 약 복용 중단 시 감량 체중을 유지하고 체중 감소 시 근육손실을 최소화하는 연구(임상 1상)도 하고 있다. 가동 중인 비만 프로젝트는 4~5개에 이른다.

○“치매 예방 R&D도 진행 중”

알츠하이머병 등 퇴행성 신경질환도 릴리가 공략하고 있는 시장 중 하나다. 릭스 회장은 “치매가 야기하는 경제적 부담은 연간 1조3000억달러(약 1770조원)지만 아직까지 의미있게 질병 진행 경과를 바꾼 치료제는 없다”며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제 시장은 앞으로 큰 진전이 있을 가능성이 높은 분야”라고 평가했다. 이어 “치매는 여러 다양한 증상의 집합체”라며 “퇴행성 신경질환은 증상이 나타난 뒤 치료를 시작하는 것보다 증상이 나타나기 전 미리 예방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인 만큼 릴리도 예방법을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기업과의 협업 의사도 내비쳤다. 릭스 회장은 “현재 진행 중인 R&D는 자체 연구가 3분의 2, 외부 협력이 3분의 1 수준”이라며 “우리가 집중하고 있는 질환 영역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있거나 효과적인 접근법이 있다면 협력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정민 기자

▷인터뷰 전문은 한경 바이오인사이트(hankyung.com/bioinsight)에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