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에서 희귀 광물을 확보하기 위한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 간 협약 체결이 임박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자국 첨단산업을 육성하려는 사우디와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는 미국의 이해관계가 맞물린 결과로 해석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0일(현지시간) 미국과 사우디 소식통을 인용해 양국이 아프리카 희귀 광물을 확보하기 위한 회담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협약은 사우디벤처투자(SVC)가 콩고민주공화국(DR콩고), 기니, 나미비아 등에서 20억달러(약 2조6600억원) 규모 광산 지분을 매입하면, 미국 기업이 사우디가 소유한 생산량 일부를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 내용이 골자다.

그간 미국 기업은 아프리카 광물 시장에 직접 진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부패가 만연한 아프리카에서 사업하려면 간혹 불법적 수단을 동원해야 하지만, 엄격한 국내법이 족쇄가 되면서다. 미 법무부는 일부 기업을 뇌물 수수 혐의로 기소하기도 했다. 그에 비해 사우디 국부펀드는 법적 제약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규제에서 자유롭다고 WSJ는 전했다.

사우디와 미국은 코발트 주요 생산국인 DR콩고와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기도 했다. 사우디공공투자기금(PIF)은 사우디 국영광업회사인 마덴과의 30억달러 합작 투자를 통해 DR콩고에 진출하고 싶다는 의사를 지난 6월 DR콩고 정부에 전달했다. 또 미국은 DR콩고와 배터리 생산 공장을 현지에 건설하는 안을 논의했다고 한 관계자가 전했다.

사우디는 아프리카 진출을 자국 산업 구조를 다각화하는 발판으로 삼으려고 한다. 기존 석유 중심 경제에서 벗어나 광물 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늘리고 인공지능(AI)·전기차·신재생에너지 등 첨단산업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미국은 중국에 대한 희귀 광물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 중국은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을 틀어쥐고 있다.

이번 협약은 전날 주요 20개국(G20) 회의에서 발표된 인도·중동·유럽 경제회랑(IMEC) 구상의 일환으로 알려졌다. 중국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실크로드)에 대한 맞불 구상으로 평가된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