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해녀는 ‘물꽃’을 찾았을까… 경이로운 '제주 해녀' 다큐
87년간이라고 했다.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삼달리에 사는 현순직 할머니(97)가 해녀로서 '물질'한 기간이다. 물질은 주로 해녀들이 바닷속에 들어가서 해산물을 따는 일을 이르는 말이다. 현 할머니는 “여덟 살(만 7세) 때부터 시작했다”는 물질을 2020년 94세 나이에 공식적으로 그만둔다.

오는 30일 개봉하는 다큐멘터리 영화 '물꽃의 전설'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햇수로 약 6년 동안 최고령 해녀인 현순직(촬영 당시 89~94세) 할머니가 거주하는 삼달리 해녀촌을 비춘다. 해녀들의 일상과 해수 오염 등에 따른 위기와 고충 등을 현순직 할머니와 삼달리 최연소 해녀 채지애(34~39세)씨의 범상치 않은 삶을 중심으로 밀도 있게 펼쳐낸다. 제주 출신 고희영 감독이 '물숨'(2016년)에 이어 두 번째로 삼달리에 살다시피 하며 제주 해녀의 삶을 기록한 장편 다큐멘터리다.
두 해녀는 ‘물꽃’을 찾았을까… 경이로운 '제주 해녀' 다큐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 / (파도야) 쳐라 쳐라 / 우리 부모 날 무사 나거(왜 나를 낳으셔서)/요런 고셩(이런 고생), 다 시키나…”

영화 초반과 중반, 종반에 해녀 민요 '이어도 사나'가 현순직 할머니의 육성으로 들려온다. 마치 주제가처럼 나오는 이 노래는 상상의 섬 '이어도'에서 아무런 고통이나 어려움 없이 살고 싶은 해녀들의 바람을 담았다.

현순직 할머니는 해녀들의 우두머리를 뜻하는 '고래 상군'이었던 어머니를 따라 어릴 때부터 바다에 나섰다. 모전여전(母傳女傳)이라고 했던가. 물질에 천부적인 재능을 보인 그는 16세에 베테랑 해녀를 의미하는 '상군 해녀'가 됐다.

구체적인 사연은 나오지 않지만, 그는 독도와 강화도. 완도 등 전국의 바다를 돌아다니면서 물질을 해 슬하의 세 아들을 홀로 뒷바라지했다. 아들들을 공부시키고, 결혼시키고, 각각 제주시에 집까지 마련해주고는 정작 본인은 홀로 삼달리에 남아 여생을 보내고 있다. 아들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거의 매일 테왁(해녀가 물질할 때, 가슴에 받쳐 몸이 뜨게 하는 공 모양의 기구)과 채집한 해산물을 담는 그물망을 짊어지고 바다에 나선다.

현순직 할머니는 후배 해녀들과 제작진에게 젊을 때 자주 갔다는 들물여의 물꽃을 전설처럼 들려준다. 삼달리와 거리가 좀 떨어져 있고, 조류 변화가 심해 수영과 물질에 능한 자신만 갈 수 있었다는 들물여에는 물꽃이 흐드러지게 피었고 전복과 소라 등 해산물이 넘쳐났다는 얘기다.
두 해녀는 ‘물꽃’을 찾았을까… 경이로운 '제주 해녀' 다큐
막내 해녀인 채지애씨는 그런 현순직 할머니를 믿고 따른다. 삼달리가 고향인 그는 해녀인 어머니의 뒷바라지로 육지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헤어 디자이너로 일을 시작했다. 하지만 헤어드라이어 소리가 바닷소리로 들릴 만큼 향수병이 짙어지자 고향으로 돌아와 어머니의 반대를 무릅쓰고 해녀가 됐다. 촬영을 시작할 무렵 그는 물질을 시작한 지 1년 8개월밖에 안 된 '아기 해녀'였다. 하지만 어머니와 현순직에게 열심히 일을 배워 촬영이 끝날 무렵인 2021년에는 능숙한 '상군 해녀'로 성장했다.

현순직 할머니는 “저 아이가 제일 마음씨가 고와”라고 말하며 채지애씨를 살뜰히 챙기고, '고래 상군'의 노하우도 전수한다. 체력에 한계를 느낀 그는 2020년 어느 날 가까운 바다에서 마지막 물질을 한다. 87년간 지속된 해녀의 삶을 마무리하는 날에 애써 채집한 해산물의 절반을 촬영팀에 나눠주는 모습이 가슴을 울린다.

은퇴 후에도 현순직 할머니는 삼달리 바닷가에 자주 나와 조개 등 해산물을 채집한다. 어느 날 그 모습을 본 채지애씨는 자신이 건져 올린 보말을 현순직 할머니가 모르게 그의 그물망에 한가득 넣어준다.
두 해녀는 ‘물꽃’을 찾았을까… 경이로운 '제주 해녀' 다큐
상영시간(러닝타임)이 94분인 이 영화는 종영을 약 20분 남긴 시점에서 채지애씨의 제안으로 들물여의 물꽃을 찾아가는 두 해녀의 여정이 시작된다. 해수 오염으로 인해 영화를 촬영한 6년여의 기간에도 제주 인근 바다에 산업 폐기물이 많이 쌓였음에도 들물여의 물꽃은 무사할까.

현순직 할머니의 안내로 배를 타고 들물여 인근까지는 두 해녀가 같이 가지만 바닷속으로는 채지애씨 혼자서 들어간다. 그는 현순직 할머니가 해녀로서 전성기때 봤던 물꽃(분홍색 산호 ‘밤수지맨드라미’)을 볼 수 있을까. 결과에 상관없이 바다를 사랑하는 마음 아래 세대를 뛰어넘어 하나가 된 두 해녀의 우정이 화면에 온기를 더한다.

잘 만든(웰메이드) 다큐멘터리다. 영화는 제주 바다와 풍광을 담은 영상과 두 해녀의 인터뷰, 인물들간의 대화만으로 구성된다. 설교조나 해설 투의 내레이션은 전혀 없다. 그러면서도 제주 해녀들의 삶을 통해 자연과 인생에 대해 성찰할 기회를 주고, 환경 보호의 중요성 등을 가슴 뭉클하게 전해준다.
두 해녀는 ‘물꽃’을 찾았을까… 경이로운 '제주 해녀' 다큐
제주 해녀는 철저히 달의 시간으로 산다고 한다. 물때를 따라 움직이는 해녀들은 달의 모습을 보고, 조수간만의 차가 가장 작을 때인 ‘조금’을 인지해 물질을 나간다고 한다. 해녀의 집에는 보통 달의 움직임에 맞춰 1물, 2물, 3물로 나눈 달력이 걸려 있다고 한다.

고 감독은 해녀의 세계를 구현하기 위해 바다 위 달의 모습을 카메라에 의도적으로 자주 담았다고 했다. 영화는 달빛이 밝게 비추는 제주 바다로 시작해 현순직 할머니가 달이 뜬 바다를 사색에 잠긴 채 바라보는 광경을 화면 가득히 담아내며 끝난다.

현순직 할머니는 달빛이 밝게 비치는 바다를 바라보며 말한다. “달은 기울었다가도 때가 되면 다시 차는데 사람은 한번 다하면 그만인가. (···) 부모가 그만큼 물려줄까. 저 바다가 잘도 고맙지. 부모보다 더 고마워.”

송태형 문화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