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대형 아파트가 즐비한 도심에 뱀이 출몰하는 등 전국 곳곳에서 뱀 출몰 신고가 이어지고 있다.

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6월12일에는 전남 여수 한 주택가에서 길이 2m가량의 구렁이가 발견돼 출동한 소방대원들이 인근 야산에 풀어줬고, 지난달 30일에는 강원 강릉 도심에 길이 1.4m의 뱀이 출몰해 한바탕 소동이 일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여름철 아파트 단지 안까지 뱀 출몰에 잦은 이유에 대해 "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상대적으로 서식이 쉬운 주거지로 뱀이 이동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창득 국립생태원 전임연구원은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찌는 듯한 더위에 뱀 역시 덥기 때문에 체온을 낮추기 위해 그늘 같은 시원한 곳을 찾아다니는데, 도심 아파트 단지 내 나무가 많은 산책로나 인공 폭포 등지에서 발견될 수 있다"고 말했다.

변온동물인 뱀은 건조하고 춥거나 습하고 더운 극단적인 기후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덥고 습한 야생에서 버티지 못한 뱀이 상대적으로 적당한 습도와 기온을 갖춘 도심으로 모여든다는 설명이다.

다만, 뱀을 발견했더라도 함부로 포획해서는 안 된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내에 서식 중인 대부분의 뱀이 포획 금지 대상이기 때문이다.

한반도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대륙유혈목이와 능구렁이, 실뱀, 누룩뱀, 살모사 등 국내에서 주로 발견되는 뱀 대부분이 포획 금지 야생생물로 지정돼 있다.

주택가로 서식지를 옮긴 뱀 중에는 독뱀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 때문에 뱀을 만나면 신속하게 자리를 피하고 소방에 신고하는 것이 최상책이다.

한편,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 7월 한 달 전국 119안전센터에서 뱀이 나왔다는 신고로 출동한 건수는 총 6235건이었다. 연도별로는 2018년 873건에서 2019년 1077건, 2020년 1554건, 2021년 1583건으로 늘었다가 지난해 7월엔 1148건으로 줄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