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왜'가 중요한 관광객 3000만 유치
이수진 야놀자 창업자(대표이사)의 지난 20일 기자간담회 발언은 관광정책을 담당하는 정부 인사들이라면 되새겨볼 만하다. 지난해 인수한 인터파크의 사명 변경 등을 이유로 6년 만에 기자들 앞에 선 그는 “2028년까지 외국인 관광객 5000만 명을 유치하겠다”며 작심한 듯 생각을 쏟아냈다. “여행이 지역소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인바운드(입국) 상품을 지방 국제공항 중심으로 다변화하고, 지역 관광지와 연계하겠다”는 발언도 내놨다. “인공지능(AI)을 통해 언어·문화의 벽을 뛰어넘겠다”고도 했다.

관광정책, 공감 얻고 있나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몸값’ 올리려는 소리”로 치부해버릴 수도 있다. 하지만 야놀자는 쿠팡, 무신사와 함께 e커머스 시장에 안착한 몇 안 되는 기업이란 평가를 받는다. IPO에만 목맬 것으로 여겨지는 곳은 아니라는 얘기다. 무엇보다 아젠다의 당위성, 실현 가능성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다는 사실을 부정하기 힘들다.

이 대표의 비전은 ‘2027년 외국인 관광객 3000만 명 유치’를 목표로 한 정부 정책의 또 다른 지향점을 제시한다. 정부는 2023~2024년을 ‘한국 방문의 해’로 정하고 이를 위해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냉정히 말해 달성하기 쉽지 않은 목표다. 외국인 관광객이 역대 최다를 찍은 건 2019년(1356만 명)이었다. 올해는 엔데믹, 절정에 달한 K콘텐츠의 인기 등 우호적인 여건이 한둘이 아니다. 그런데도 1~4월 성적(260만 명)은 2019년 동기(547만 명)의 47.5%에 불과했다. 외국인 관광객 3000만 명 유치가 공허한 선언으로 끝나지 않으려면 국민의 관심과 성원이 필수다. 그렇지 않으면 정책 양산과 법제화가 힘을 받을 수 없다.

문제는 국민이 공감할 만한 정책의 ‘세일즈 포인트’가 약해 보인다는 점이다. 정부는 작년 말 발표한 80쪽 분량의 ‘6차 관광진흥기본계획(2023~2027년)’ 추진 이유로 ‘관광산업의 위상 회복’ ‘국민의 삶의 질 증진’을 들었다. 공무원이 쓴 보고서에 흔히 담긴 영혼 없는 언어들이다.

일자리 창출? 힘들기로 소문나 외국인들조차 외면하는 게 이 바닥 현실이다. 삶의 질 증진? 경기 둔화로 주머니 사정이 팍팍해져 잡아놨던 여행 계획을 취소하는 직장인이 속출하는 판인데?

“여행이 지역소멸의 해법이 된다”는 이 대표의 발언은 이 지점에서 소구력이 크다. 체류 기간을 감안하지 않고 단순 계산하면, 관광객이 연 3000만 명 들어올 경우 국내 ‘생활인구’가 60% 가까이 늘어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내 삶의 문제'임을 알려야

절체절명의 국가 과제인 지역소멸을 저지할 강력한 무기가 된다. 누적 80만 명의 관광객이 찾아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이목을 끈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의 ‘예산시장 대박’ 선례가 생생한 증거다.

관광정책이란 게 티는 안 나고, 예산·노력·시간은 엄청나게 투입해야 한다. 경제·사회적 낙수효과가 상당한데도 굳건한 지지가 없으면 뒷순위로 밀리기 십상이다. 그러니 ‘존재 이유’부터 제대로, 단단히 해놔야 한다. 그래야 힘줄 데 힘주고, 쳐낼 데는 쳐낼 수 있다. 면피를 위한 보여주기에 급급해서는 거듭된 실패가 불문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