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커 공공입찰 참여 강력 대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달청은 구매 물품 공급능력을 갖추지 않은 일반인이나 업체가 기업형 브로커, 민간플랫폼 등을 통해 공공 입찰에 무분별하게 참여하는 문제를 근절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고 13일 밝혔다.
ADVERTISEMENT
이들은 낙찰받으면 수수료만 챙기고 해당 입찰 건을 브로커에 넘기는 방식으로 공공입찰 질서를 훼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기업형 브로커는 유튜브, SNS 등을 통해 물품 공급능력을 갖추지 않은 일반인들이 사업자등록과 나라장터 업체등록 후 공공 입찰에 참여토록 유도하고 있기도 하다.
ADVERTISEMENT
우선 입찰·계약과정에서 브로커의 개념과 불공정행위 유형을 규정하고, 불공정 행위를 적발할 경우 해당 브로커의 입찰 참가 자격 등록을 말소 처리하기로 했다.
조달청은 이번 개정에서 브로커는 계약상대자가 아님에도 입찰·계약체결 및 계약이행 등의 과정에 개입해 직접 이익을 취득하거나 계약상대자 또는 제삼자에게 이익을 얻게 하는 자로 규정했다.
ADVERTISEMENT
조달청은 이 같은 불공정 행위 적발 시 해당 브로커의 입찰 참가 자격 등록을 말소 처리할 예정이다.
계약상대자는 앞으로 조달청과 체결한 계약에 대해 공급업체 선정·관리 등을 직접 이행하도록 의무가 부여되며, 브로커의 불공정행위에 대한 개입이나 협조행위도 금지된다.
ADVERTISEMENT
계약이행 완료 후에 직접 이행 의무 위반 등이 적발될 경우, 계약금액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을 위약금으로 납부해야 한다.
브로커 등 입찰 관련 불공정행위는 조달청 누리집, 나라장터 등 불공정조달행위 신고센터를 통해 신고가 가능하다.
조달청은 신고 접수 시 즉각 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종욱 조달청장은 “대책이 시행되면 공공 입찰에 ‘묻지마 투찰식’으로 무분별하게 참여하는 사례가 크게 줄어들 것”이라며 “앞으로도 공공 조달시장에서 공정한 거래 질서를 훼손하는 편법과 반칙행위를 근절시키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