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리우드 배우 매튜 맥커너히, 최근 독일행 비행기서 '아찔 경험'
맑은 하늘에 생기는 '청천난기류'…예측 불가해 위험도 ↑

비행 중 '가슴 철렁' 난기류…기후변화에 더 요란해질듯
미국 할리우드 배우 매튜 맥커너히는 지난달 1일(현지시간) 독일행 루프트한자 비행기 안에서 가슴 쓸어내리는 일을 경험했다.

아내 카밀라 알베스 맥커너히와 텍사스를 출발해 독일로 향하던 중 비행기가 갑자기 강한 난기류를 만나 4천 피트(약 1천220m)를 수직 강하한 것이다.

맥커너히는 포도주잔이 순식간에 공중에 붕 떴다가 바닥에 떨어져 와장창 깨지는 걸 눈 앞에서 목격했다.

그는 다행히 다치진 않았지만 "당시 너무 놀라 정신이 완전히 나갔다"고 배우 켈리 리파의 팟캐스트에 출연해 회고했다.

이 사고로 당시 7명의 승객이 다쳤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8일 맥커너히의 사례를 예로 들며 최근 강력한 난기류로 부상자가 발생하는 일이 종종 생기고 있다고 소개했다.

원래 비행 도중 난기류를 만나더라도 부상자가 생기는 건 드문 일이다.

미 교통안전위원회(NTSB)에 따르면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난기류로 다친 사람은 163명으로, 주로 비행 중에 서 있는 승무원들이다.

영국 레딩대학교의 대기과학 교수인 폴 윌리엄스에 따르면 난기류는 소용돌이치는 기류가 비행기의 날개에 부딪혀 발생한다.

이때 비행기 날개가 위아래로 움직이거나 기체가 좌우로 흔들린다.

기압이나 풍향 변화, 한랭·고온 전선 등이 난기류를 만드는 요인으로 꼽힌다.

비행 중 '가슴 철렁' 난기류…기후변화에 더 요란해질듯
이런 난기류 가운데 풍속이나 풍향이 갑자기 바뀌는 돌풍으로 생기는 게 '청천 난기류(靑天亂氣流·Clear-air-turbulence)'다.

상층 고도의 구름 없는 맑은 하늘에서 갑자기 발생해 기장들이 예측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윌리엄스 교수가 공저해 2019년 과학 저널 네이처지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제트 기류 내 돌풍 발생 빈도는 1979년 이래 15% 증가했다.

윌리엄스 교수는 기후 변화가 온도 패턴을 바꾸고 있어 이 같은 '청천 난기류'가 상층 고도에서 더 자주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윌리엄스 교수는 북반구 중부의 '청천 난기류' 발생 빈도가 향후 30년∼60년 사이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일본 도쿄를 잇는 항공편이 바로 이 '청천 난기류' 위험 지대에 포함된다는 게 윌리엄스 교수의 설명이다.

예기치 않은 '불청객'에 맞서 항공사들과 승무원들도 대응에 나서고 있다.

미 아메리칸 항공 소속이자 조종사 협회 대변인인 데니스 타저 기장은 "30년가량 민간 항공사에서 일했는데 최근 들어 '청천 난기류'를 자주 맞닥뜨리고 있다"며 "승무원들도 승객들에게 난기류 상황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아메리칸 항공은 실제 지난해 5월 난기류 상황 시 승무원들의 세부 대응 매뉴얼을 업데이트했다.

예를 들어, 강력한 난기류가 발생하면 승무원들은 카트를 고정하고, 뜨거운 음료는 카트 선반이나 바닥에 둔 채 가까운 좌석이나 바닥으로 최대한 빨리 피신해야 한다.

아메리칸 항공과 유나이티드 항공은 조종사들에게 실시간 난기류 보고가 올라오는 '스카이패스' 프로그램 접근권도 줬다.

스카이패스는 기장들의 아이패드에서 진동을 감지해 난기류 정보를 파악한 뒤 인근 비행기들에 실시간 위험 경고를 알리는 프로그램이라고 유나이티드 항공 대변인은 설명했다.

승객들은 난기류 상황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2살 이하 유아와 동반 탑승 시엔 사전 승인된 전용 좌석을 사용하고, 전자기기를 단단히 고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특히 비행기는 그 어떤 난기류에도 견딜 수 있게 만들어진 만큼 예기치 못한 난기류를 만나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숨을 깊게 들이마시라고 조종사들은 조언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