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부터 허리띠 졸라매야" vs "9급 기본급 최저임금도 안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무원 임금 1%대 인상 유력
'공공부문 개혁' 尹의지 반영
경제위기·건전재정 기조 속
정부 "공무원부터 솔선수범"
공무원노조는 '7.4% 인상' 요구
"물가 상승으로 실질소득 감소"
전문가 "하위직 인상폭 높이고
그 위 직급은 최소로 올려야"
'공공부문 개혁' 尹의지 반영
경제위기·건전재정 기조 속
정부 "공무원부터 솔선수범"
공무원노조는 '7.4% 인상' 요구
"물가 상승으로 실질소득 감소"
전문가 "하위직 인상폭 높이고
그 위 직급은 최소로 올려야"

“공직사회부터 솔선수범해야”

ADVERTISEMENT
문재인 정부 5년간 공무원 수가 급격히 늘면서 공무원 보수 인상이 재정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는 점도 정부가 보수 인상을 최소화하려는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공무원 정원이 매년 늘어나면서 보수 인상률보다 인건비 증가율이 높아지는 추세다. 올해 공무원 인건비 예산(중앙정부 기준)은 41조3000억원으로 작년 40조2000억원보다 2.7% 증가했다. 보수 인상률은 1.4%였지만 지출 규모는 이보다 더 많이 늘었다. 2021년에도 보수 인상률은 0.9%에 그쳤지만 인건비 증가율은 3.1%에 달했다. 문재인 정부 5년간 공무원 수가 13만 명가량 늘어나면서 보수 인상에 따른 재정 부담도 이전 정부에 비해 그만큼 커졌다는 분석이다.
“하위직 월급 최저임금보다 낮아”

ADVERTISEMENT
전국공무원노조 소속의 한 조합원은 “(작년과 올해) 2년 연속 1%대 임금 인상률을 기록하면서 2년간 실질임금이 4.5% 삭감됐다”며 “정보기술(IT) 기업처럼 성과급은 언감생심이고, 생활임금인 기본급이라도 사람답게 살 수 있게 올려달라”고 했다. 공무원노조는 10일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보수 인상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 계획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하위직 공무원의 보수를 최저임금 이상으로 올리되 그 위 직급의 보수 인상률은 최소화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거론된다.
강진규/곽용희 기자 josep@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