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장제원 등 '원조 윤핵관', 핵심 부상하며 역할 커질까
"당권 주자들이 구심점 될 것" 관측도… 안철수·정진석·김기현 등 거론
'성상납 의혹' 이준석 거취 변수…차기 공천권 맞물려 내년 초 전대 가능성
'포스트 6·1' 與 친윤 구심점은…당권구도 맞물려 물밑 '꿈틀'
'포스트 6·1 지방선거' 국면에서 국민의힘내 '친윤(친윤석열)' 그룹의 구심점이 어떻게 형성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윤풍(尹風)'의 위력이 확인되며 여당 내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영향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윤석열당'으로의 재편이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인 셈이다.

윤 대통령과의 당 사이에서 가교 구실을 하고 집권 초반 국정 과제 수행을 뒷받침하며 때로는 바람막이 역할까지 맡을 '친윤' 그룹에 힘이 실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윤 대통령은 정치에 입문한지 1년여밖에 지나지 않아 당내 기반은 그리 탄탄하지 않은 편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친윤 그룹이 어떤 모양새를 갖추게 될지는 아직 예상하기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성상납 의혹' 논란 속에 당 윤리위에 회부된 이준석 대표의 거취 문제와 맞물려 조기 전당대회 개최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당권경쟁 와중에 친윤그룹 핵심을 차지하기 위한 물밑 주도권 싸움이 치열하게 벌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포스트 6·1' 與 친윤 구심점은…당권구도 맞물려 물밑 '꿈틀'
현재 친윤그룹 주류를 이룰 것으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인사들은 윤 대통령의 정치 입문 때부터 함께 해온 이른바 '윤핵관' (윤석열 대통령의 핵심 관계자) 들이다.

'윤핵관'으로는 권성동 원내대표와 장제원 의원 등이 1순위로 꼽히고 윤한홍·이철규 의원 등도 함께 거론된다.

국민의힘 최다선인 5선의 정진석 국회 부의장도 당내 대표적인 친윤 중진으로 꼽힌다.

이들이 이후 당직개편이나 조기전대 등을 거치면서 주요 당직을 맡으며 '몸풀기'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다.

다만 '윤핵관'으로 권력 쏠림이 심화하면 당내 견제 심리가 발동할 수 있다는 전망도 일각에서 나온다.

장 의원의 경우 당선인 비서실장 이후 당에 돌아와 조용히 '로키' 행보 중이다.

당내에서는 아예 공부모임 등 의원 모임을 새로 만들어 친윤계 의원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자는 아이디어도 오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특정인 몇몇에 의존하는 형태가 아닌, 더 개방적인 형태로 '친윤그룹'의 세를 늘릴 수 있다.

일각에서는 기존 친윤계 의원들 보다는 차기 당권주자들을 중심으로 당내 구심점이 만들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기존 친윤 인사들처럼 윤 대통령과 매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아닐지라도 당내 기반을 넓히고 윤 대통령 측과의 소통을 강화하며 원활한 여당-대통령실 관계를 주도한다면 충분히 여권 내 핵심 세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이런 맥락에서 이번 분당갑 보궐선거로 원내에 재입성하는 안철수 전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의 당권 도전 여부도 여권 내 권력 지형의 주요 변수다.

지난 대선 막판 극적인 단일화로 승리에 기여한 안 전 위원장은 자신의 궁극적 목표인 차기 대권을 위해 일단 당권부터 잡아 당내 기반 확대를 꾀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번 정부 인수위원장을 맡으며 윤석열 정부의 초반 정책을 총지휘한 만큼 윤 대통령 및 대통령실과의 관계설정에도 문제가 없을 거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지방선거에서 김은혜 후보와 '러닝메이트' 격으로 뛰었음에도 핵심 승부처인 경기도를 민주당에 내줬다는 점이 뼈 아프다.

김기현 전 원내대표 역시 당권에 도전하며 당내 구심점 자리를 모색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그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공동상임선대위원장을 맡아 선거 승리를 이끌었고, 민주당의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입법에 맞서다 30일 국회 출석정지 징계를 당했으나 헌법재판소가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인용하는 등 점점 '스토리'를 만들어 가고 있다.

윤핵관 가운데 권 원내대표나 정 국회부의장의 경우 당장은 원내직이나 국회직에 몸이 묶여 있는 상황이지만, 이 대표가 내년 6월까지 임기를 채울 경우 당권 도전 가능성이 무게 있게 거론된다.

'포스트 6·1' 與 친윤 구심점은…당권구도 맞물려 물밑 '꿈틀'
변수는 이 대표의 거취다.

당 윤리위는 이달 말 전체 회의를 열어 이 대표에 대한 징계 논의를 재개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당헌은 궐위된 당 대표의 잔여 임기가 6개월 미만일 경우 원내대표가 그 직을 승계하고, 6개월 이상이면 임시전대를 열어 당 대표를 뽑되 임기는 전임 대표의 잔여 임기로 하게 돼 있다.

내년 6월까지가 임기인 이 대표가 만약 이달 말 징계를 받고 물러난다면 새로 뽑힐 지도부의 임기도 그때까지인 셈이다.

이 경우 2024년 4월 치러지는 22대 총선의 공천권을 행사할 수 없기 때문에 당권 도전자가 거의 없으리란 관측이다.

이에 이 대표의 사퇴 시점을 잔여 임기가 6개월 밑으로 떨어지는 연말 이후로 조정한 다음 내년 2~3월께 전대를 개최해 차기 지도부에 힘을 실어주는 방안이 당내에서 거론되고 있다.

당의 한 관계자는 5일 "이 대표가 대선과 지방선거를 승리로 이끌었다는 명분을 내세워 징계 이후 불명예 퇴진보다는 대신 자진 사퇴 형식으로 물러난 다음 해외 유학을 떠나는 시나리오도 거론된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이 대표는 지난 4일 동아일보 인터뷰에서 "나는 당연히 임기를 채운다.

유학설 같은 구체적인 시나리오까지 만들어서 흘리는 이유는 간단하다.

그렇게 해야 나를 흔들 수 있어서"라고 부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