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제대 법문학부·대동아공영권 등 다룬 5∼8권 출간
일제의 동양 침략주의 분석한 '식민사학 비판 총서' 완간
일제강점기 이후 형성된 식민사학 뿌리와 실상을 파헤치고 일제의 동양 제패 이데올로기를 분석하고자 한 '일제 식민사학 비판 총서'가 5∼8권 출간으로 완간됐다.

국사편찬위원장을 지낸 이태진 서울대 명예교수가 연구 책임을 맡았으며, 사회평론아카데미가 펴냈다.

1∼4권은 2월 말에 나왔다.

서영희 한국공학대 교수가 쓴 5권 '조선총독부의 조선사 자료수집과 역사편찬'은 일제가 역사서 '조선반도사', '조선사', '고종순종실록'을 어떻게 편찬하려 했는지 고찰한 책이다.

서 교수는 세 역사서를 식민사학의 전체적 틀에서 살피고, 일제의 역사 편찬 사업이 조선총독부 정책 방향과 방침을 기준으로 이뤄졌음을 논증했다.

그는 조선총독부가 발간한 '조선사'에 대해 "공적하고 객관적인 사료 편찬을 표방했지만, 최남선을 비롯한 조선인 위원들의 의견은 전혀 수용되지 않았다"며 "실증주의와 학술적 권위라는 방패 아래 식민사학의 의도를 표출했다"고 주장했다.

총서 6권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와 조선 연구'는 역사사회학을 전공한 정준영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가 집필했다.

정 교수는 식민지 조선에서 최고 학부였던 경성제대 법문학부의 조선 연구 경향을 인물 중심으로 들여다봤다.

그가 주목한 인물은 조선총독부 고적조사과장을 지낸 오다 쇼고(小田省吾), 경성제대 교수였던 이마니시 류(今西龍), 청대 고증학에 관심이 많았던 후지쓰카 지카시(藤塚隣), 경성제대 법문학부에서 국제공법과 외교사를 강의한 이즈미 아키라(泉哲) 등이다.

정 교수는 "경성제대의 조선 연구가 학문적 자율성과 과학적 엄밀성, 제국적 보편성을 지향한다고 해도 그 한계는 명확했다"며 "그 배후에 식민지배의 폭력적 현실이 최종심급처럼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이 그것"이라고 짚는다.

근현대사 연구자인 허영란 울산대 교수는 7권 '남양과 식민주의'에서 일제가 건설하고자 한 '대동아공영권'의 대상 공간이었던 '남양'을 분석했다.

허 교수는 "적도 주변에 산재한 섬들과 동남아시아 일대까지 포괄하는 남양은 '동양-서양'이라는 개념과 구별되는 제3의 일본식 지역 개념이었다"며 "동양과 남양의 관계는 일본제국의 거시적 식민주의가 시기별로 확산하고 변하는 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고 설명한다.

이어 남양이나 남방은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공간이라기보다는 팽창 이데올로기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에 의해 구성된 곳이었다고 지적한다.

총서 마지막 책인 8권 '일본제국의 대외 침략과 동방학 변천'은 1권 저자이기도 한 이태진 교수가 썼다.

이 교수는 외무성 산하 동방문화학원, 교토제대 인문과학연구소, 도쿄제대 동양문화연구소 등 동방학과 대동아공영권 이데올로기 구축에 앞장선 기관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그는 에필로그에서 "제국 일본의 대외 팽창정책을 뒷받침한 천황제 국가주의는 신성불가침으로 강고했다"며 "쇼와(昭和·재위 1926∼1989) 천황은 선대와 달리 전쟁 총사령관 역할을 한 혐의를 벗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제국 일본의 잘못된 역사교육은 동아시아에서 큰 전쟁을 반복하게 했다"며 "한중일 3국 역사학계의 반성과 협력관계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각권 288∼452쪽, 2만5천∼2만8천원.
일제의 동양 침략주의 분석한 '식민사학 비판 총서' 완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