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최근 들어 핵무장을 강화하고 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미국과의 긴장이 더욱 고조되고 있는 데 따른 대응책이라는 분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지도부가 핵무기 개발에 최근 주력하고 있다고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는 지난 1월 촬영된 위성사진을 인용해 중국 서부 간쑤성 위먼의 외곽 지역에서 핵 미사일 지하 격납고로 활용될 수 있는 ‘사일로’ 시설 120여 기가 관측됐다고 전했다. 이 사일로에는 미 본토가 사정거리에 들어가는 장거리 미사일 ‘DF-41’을 격납할 수 있는 공간이 갖춰진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말 촬영된 위성사진에서는 사일로 45기가 가려져 있었으나 최근 가리개가 사라진 점을 볼 때 보안에 민감한 작업까지 완료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WSJ에 따르면 위먼 외 중국 서부 2개 지역에 또 다른 사일로 구역을 만드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과거 중국은 실제 사용이 어렵다는 이유로 핵무기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에 이어 조 바이든 대통령까지 강경한 대중 정책을 펼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이 중국에 정권 교체 압박까지 넣을 수 있다는 우려가 일고 있다는 전언이다. 우크라이나 사태도 중국이 핵무장에 힘을 쏟게 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우크라이나가 과거에 자발적으로 핵을 포기하지 않았다면 러시아 침공이 없었을 것이라는 자체 분석도 영향을 미쳤다. 또한 중국과 대만이 군사적 분쟁을 벌이게 될 경우 미국이 개입할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려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중국 지도부에서 대두한 것으로 알려졌다. 크리스토퍼 주메이 미 해군 대학원 국가안보부 교수는 “대만에서 실제로 대규모 군사 충돌이 벌어질 경우 (미·중) 양측은 자국에 유리하게 상황을 끌고가기 위해 핵무기 사용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WSJ는 핵무기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과거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 사이 냉전과 같은 상황을 다시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중국 정부는 핵무기 확대 여부에 대해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