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들어 금리 인상 시계가 급격히 빨라지면서 초저금리에 익숙했던 투자자들도 투자 원칙을 재정립할 시기가 왔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시장 격동에 맞서 인내심을 발휘하되 위기 속에서도 투자 기회가 찾아오면 때를 놓치지 않는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美긴축에 2분기 '자산 발작' 땐 초우량·경기민감株 매수할만
선 금리 인상을 자연스러운 시장 정상화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여유있게 시장을 바라보는 마음가짐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최영남 신한PWM분당센터 팀장은“긴축 강도와 속도가 확정되기 전까지 매우 높은 변동성이 예상되는 만큼 차분하게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원용 하나은행 영업1부PB센터지점 Gold PB팀장은 “적정한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과민 반응이 나타나는 데는 적극적으로 맞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년간의 투자 성과로 스스로를 과신해선 안 된다는 충고도 있었다. 이흥두 국민은행 도곡스타 PB센터 부센터장은 “최근 2년간 주식시장의 고성장은 풍부한 유동성과 저금리 덕분”이라며 “앞으로 금융 환경은 그 어느 때보다 높은 변동성을 보일 것이므로 이럴 때일수록 평정심을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

위기 속에서 투자 타이밍을 잡으려면 리스크와 변수를 파악하는 게 우선이다.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 긴축 행보를 올해 가장 주의해야 할 변수로 꼽았다. 국내 대선 결과에 따른 정책 변화와 세계적인 코로나19 진전 상황, 미·중 갈등과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위기도 올 상반기 시장을 긴장시키는 변수다.

중요한 것은 이런 변수에 미리 대비하고 기회를 포착하는 것이다. 서 팀장은 “Fed의 급격한 금리 인상과 양적긴축으로 2분기 자산시장의 발작이 온다면 오히려 초우량 기업과 경기민감주를 매수할 타이밍이 될 것”이라고 했다. 최 팀장은 “초기 충격에 따른 변동성도 점차 시장에서 소화가 되겠지만 유동성은 과거보다 높을 것”이라며 “이후에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테마와 신사업의 매력도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빈난새/김대훈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