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조 클럽' 마켓컬리에 대체 무슨 일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 초기투자자 떠나고
(2) 협력사에 저가입찰 요구 의혹
(3) 경쟁사들 치고 올라오는데
(4) 새벽배송 시장 갈수록 포화
(2) 협력사에 저가입찰 요구 의혹
(3) 경쟁사들 치고 올라오는데
(4) 새벽배송 시장 갈수록 포화

마켓컬리의 요즘 행보는 ‘공격 앞으로’로 요약할 수 있다. 전국의 주요 도매상 중 마켓컬리 MD의 제안을 안 받아본 곳이 없을 정도다. 유명 연예인을 등장시키는 광고 마케팅을 올해 재개했고, 샛별배송 권역도 충청권으로 확대 중이다. 외형을 키워 추가 투자 유치 및 상장에 성공하려는 전략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ADVERTISEMENT
5년 만에 328배 ‘폭풍 성장’

누적 회원 수도 31일 기준 800만 명에 달했다. 하루평균 주문 건수는 12만 건이다. 직매입 유통 기업 중에서 매출 기준으로 마켓컬리 위에 있는 업체는 이마트 등 대형마트 3사와 쿠팡뿐이다. 창업자인 김슬아 대표가 작년 말 롯데그룹 최고경영자(CEO)들 앞에서 ‘강연’했을 정도로 마켓컬리는 명실공히 국내 주요 유통 기업으로 자리잡았다.
코로나19의 대표적 수혜주로 꼽히는 마켓컬리는 올 들어 ‘역대급’ 확장 전략을 펼치고 있다. 4월부터 두 달간 ‘100원딜’ ‘무료배송’을 내세워 신규 고객 확대를 위한 대대적인 캠페인을 연 게 대표적이다. 쿠팡이 무료배송을 확대하고, 이마트가 최저가 경쟁을 선언하자 맞불로 대응한 것이다. 마켓컬리는 2019년 1350억원 투자를 유치한 데 이어 작년 5월에도 2000억원을 추가로 조달한 바 있다.
ADVERTISEMENT
경쟁 치열해지는 신선식품 시장
마켓컬리의 공격 경영에 대해선 평가가 극과 극이다. ‘제2의 쿠팡’이 될 것이란 예측과 함께 마켓컬리의 핵심 경쟁력인 신선식품 새벽배송은 이미 ‘레드 오션’으로 변질됐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초기 투자자인 한국투자파트너스가 지난 3월께 지분 전량(매각가 약 138억원)을 매각하고, 경쟁사인 오아시스에 투자(166억원)한 것은 마켓컬리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사례라는 분석이 나온다.유통업계 관계자는 “마켓컬리는 신세계백화점의 SSG푸드마켓, 현대백화점 식품관 등 고급 식자재 판매 채널을 온라인화하는 데 성공한 기업”이라며 “지금은 거꾸로 유통 대기업들이 쿠팡, 네이버와 경쟁하기 위해 신선식품 온라인 판매에 총력을 기울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보기술(IT) 인력만 400명가량인 쓱닷컴은 마켓컬리의 영역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장유성 쓱닷컴 데이터·인프라 본부장은 “산지에서 쓱의 물류를 타는 순간부터 소비자는 품질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며 “필요한 시간에 배달해주겠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고, (새벽 혹은 샛별이라는) 시간에 너무 집착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쿠팡의 최대 투자자인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비전펀드가 숙박 플랫폼인 야놀자에 약 2조원을 투자하기로 한 것도 마켓컬리로선 뼈아픈 대목이다. 손 회장이 쿠팡과 비슷한 국내 e커머스 플랫폼에서 더 이상 유니콘을 발굴하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박동휘/황정환 기자 donghuip@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