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공포'…대출 서둘러야 하는 이유[고은빛의 금융 길라잡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 10년 기대 인플레이션 2.54%
"주택담보대출, 단기금리에 연동돼 큰 충격"
가계부채 확대에 "통화정책 차원 대응" 의견도
"주택담보대출, 단기금리에 연동돼 큰 충격"
가계부채 확대에 "통화정책 차원 대응" 의견도
오는 7월부터 개인별 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시행 외에도 대출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가 하나 더 생겼다. 미국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공포가 커지면서 조기 금리인상설이 불거지고 있어서다. 향후 대출이자에 대한 부담은 커질 수 있어서다. 심지어, 국내에서도 인플레이션 및 가계부채 우려에 금리정상화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의 10년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지난 10일 2.54%를 기록했다. 앞으로 10년 동안의 물가상승률이 평균 2.5%대를 넘을 것으로 예상한다는 뜻이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앞으로의 기대 심리를 반영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의미한다.
물가채와 일반국채의 금리 차이에 기반해 산출하는 5년 기대인플레이션율도 2011년 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본격화한 것은 소비자물가지수가 호조를 보이면서다.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4.2% 상승했는데, 이는 2008년 이후 13년 만에 최대 규모다. 이 여파에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지난 12일 연 1.69%까지 치솟았다. 인플레이션 전망이 장기 금리에 반영된 결과다.
미국 인플레이션을 한국에서 우려하는 이유는 금리 상승 가능성 때문이다. 사실 미국 현지인들은 인플레이션을 크게 우려하고 있진 않다. 미국 모기지시장은 고정금리 대출로, 중앙은행(Fed)이 연방기금금리를 올려도 이자부담이 더 늘어나진 않기 때문이다.
김일구 한화투자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고금리정책이 현실화되면 전세계 금리가 모두 올라갈 수 밖에 없다"며 "한국과 중국처럼 주택담보대출이 단기금리에 연동된 나라들에서는 큰 경제적인 충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리인상론도 나오고 있다. 4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3% 상승하면서다. 물가상승률이 한은의 관리 목표인 2%대를 넘어선 것은 2018년 11월(2.0%) 이후 2년6개월 만이다. 3월 생산자물가지수도 지난해 11월 이후 5개월째 상승세다.
지난해 5월부터 기준금리가 0.5%로 낮아지면서 시중 유동성이 물가상승을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중 유동성에 가계대출 증가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4월 가계대출은 16조1000억원이나 늘었다. 이는 한국은행이 속보치를 작성한 2004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SKIET와 같은 공모주 청약 돌풍으로 기타대출이 사상 최대인 11조8000억원이나 늘어난 영향이 컸다. 주택담보대출도 4조2000억원 늘면서, 4월 증가폭으로는 역대 네 번째를 기록했다.
금융불안정이 확대되면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금리인상론이 불거졌다. 4월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한 위원은 "1분기 중 금융권 가계대출이 정부의 강도 높은 규제에도 불구하고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금융 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며 "정부의 가계부채 관련 대책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겠지만, 금융안정 이슈에 대해 통화정책적 차원의 고려 필요성이 점증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국내외 인플레이션 공포가 커지고 있는 만큼, 불확실성을 줄이는 차원에서 대출을 빨리 받는 게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신규대출자의 경우, 변동금리보다는 고정금리 선택을 추천한다. 고정금리는 변동금리보다 소폭 높지만, 향후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의 10년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지난 10일 2.54%를 기록했다. 앞으로 10년 동안의 물가상승률이 평균 2.5%대를 넘을 것으로 예상한다는 뜻이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앞으로의 기대 심리를 반영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의미한다.
물가채와 일반국채의 금리 차이에 기반해 산출하는 5년 기대인플레이션율도 2011년 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본격화한 것은 소비자물가지수가 호조를 보이면서다.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4.2% 상승했는데, 이는 2008년 이후 13년 만에 최대 규모다. 이 여파에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지난 12일 연 1.69%까지 치솟았다. 인플레이션 전망이 장기 금리에 반영된 결과다.
미국 인플레이션을 한국에서 우려하는 이유는 금리 상승 가능성 때문이다. 사실 미국 현지인들은 인플레이션을 크게 우려하고 있진 않다. 미국 모기지시장은 고정금리 대출로, 중앙은행(Fed)이 연방기금금리를 올려도 이자부담이 더 늘어나진 않기 때문이다.
김일구 한화투자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고금리정책이 현실화되면 전세계 금리가 모두 올라갈 수 밖에 없다"며 "한국과 중국처럼 주택담보대출이 단기금리에 연동된 나라들에서는 큰 경제적인 충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소비자물가지수도 2.3%↑…금통위서도 금리인상 주장 나와
우리나라에서도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면서 논란에 불이 붙었다. 한국은행의 '소비자동향' 조사에 따르면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1%로 이미 2%를 넘었다.금리인상론도 나오고 있다. 4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3% 상승하면서다. 물가상승률이 한은의 관리 목표인 2%대를 넘어선 것은 2018년 11월(2.0%) 이후 2년6개월 만이다. 3월 생산자물가지수도 지난해 11월 이후 5개월째 상승세다.
지난해 5월부터 기준금리가 0.5%로 낮아지면서 시중 유동성이 물가상승을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중 유동성에 가계대출 증가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4월 가계대출은 16조1000억원이나 늘었다. 이는 한국은행이 속보치를 작성한 2004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SKIET와 같은 공모주 청약 돌풍으로 기타대출이 사상 최대인 11조8000억원이나 늘어난 영향이 컸다. 주택담보대출도 4조2000억원 늘면서, 4월 증가폭으로는 역대 네 번째를 기록했다.
금융불안정이 확대되면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금리인상론이 불거졌다. 4월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한 위원은 "1분기 중 금융권 가계대출이 정부의 강도 높은 규제에도 불구하고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금융 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며 "정부의 가계부채 관련 대책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겠지만, 금융안정 이슈에 대해 통화정책적 차원의 고려 필요성이 점증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국내외 인플레이션 공포가 커지고 있는 만큼, 불확실성을 줄이는 차원에서 대출을 빨리 받는 게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신규대출자의 경우, 변동금리보다는 고정금리 선택을 추천한다. 고정금리는 변동금리보다 소폭 높지만, 향후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