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된 '北 원전' 문건 봤더니…"정부 공식 입장 아님" 명시 [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 가지 시나리오 담겼지만, 정부 정책으로 추진된 바 없어
원문 공개 통해 논란이 종식되길 바란다"
원문 공개 통해 논란이 종식되길 바란다"

산업부는 1일 '북한지역 원전 건설 추진 방안'이라는 제목의 6쪽짜리 문건 원문을 공개했다.
ADVERTISEMENT
해당 문건 첫머리에는 "향후 북한 지역에 원전 건설을 추진할 경우 가능한 대안에 대한 내부 검토 자료이며, 정부의 공식 입장이 아님"이라고 명시돼 있다.
문건은 원전 건설 추진 방안을 세 가지 시나리오로 제시했다.
ADVERTISEMENT
2안은 다른 고려요인에 따라 DMZ에 원전을 건설하는 내용이고, 3안으로는 백지화한 신한울 3·4호기를 건설한 후 북한으로 송전하는 방안이 담겼다.
문건 말미에는 "북한 내 사용후 핵연료 처분이 전제될 경우 1안이 소요시간과 사업비, 남한 내 에너지전환 정책의 일관성 측면에서 설득력이 있다"고 전망했다.
ADVERTISEMENT
아울러 "향후 비핵화 조치가 구체화되고 원전 건설이 가시화되는 시점에서 추진 체계, 세부적인 추진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도 했다.
이날 공개된 원문은 삭제된 문건과 동일한 자료로, 산업부 내부 컴퓨터에 남아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ADVERTISEMENT
한편 산업부에 따르면 공개된 530개 삭제 파일 목록을 확인한 결과, 이전 정부에서 작성된 자료가 174개, 현 정부에서 작성된 자료가 272개로 파악됐다. 그 외 작성 시기 구분이 어려운 문서는 21개, 문서가 아닌 사진 자료 등은 63개로 파악됐다.
아울러 산업부는 북한 원전 관련 자료로 예시된 17개 파일 중 산업부에서 작성한 자료가 이날 원문을 공개한 '북한 지역 원전건설 추진방안'과 공개하지 않은 '에너지분야 남북경협 전문가' 등 2개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나머지 자료들은 1995년부터 추진된 KEDO 관련 공개 자료와 전문가 명단이라는 설명이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