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가 보합권
27일 한국감정원이 24일 조사 기준으로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10% 상승, 전세가격은 0.16% 상승했다. 수도권은 0.16%, 서울은 0.11% 올라 우상향을 지속했다. 수도권과 서울 모두 지난주보다 0.01%씩 상승률이 둔화됐다. 그럼에도 수도권은 지난해 8월 둘째 이후로 56주째 오르고 있고, 서울 역시 61주째 상승흐름이다.
서울에서는 전세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전월세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 등 임대차법이 시행된 가운데 거주요건 강화 등으로 인해서다. 강남과 강북 모두 비슷한 상승률을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선호되는 역세권이나 교육환경 양호한 지역 위주로 올랐다.
강동구(0.18%)는 강일 암사 고덕동 등 정주환경 양호한 곳 중심으로 전셋값이 상승했다. 서초구는 정비사업 이주수요(한신4지구)의 영향으로 잠원동에서 상승세를 보여 0.16% 올랐다. 강남구(0.15%)는 개포 대치 도곡동 구축단지 위주로 전세가가 뛰었다. 강북에서는 길음뉴타운과 종암동 구축 위주로 성북구(0.16%) 전셋값이 상승곡선을 그렸다. 마포구(0.15%)는 공덕 창전 아현동 등 아파트들이 몰려있는 지역에서 강세를 나타냈다. 서울의 전셋값 상승에 수도권 전셋값은 풍선효과로 오름세를 키우고 있다. 인천은 0.06% 전셋값이 뛰어 지난주(0.05%) 보다 폭을 넓혔다. 중구(0.41%)는 영종도 내 신도심(중산 운남동) 중심으로 전세매물 소진되며 강세를 보였다. 송도국제도시를 끼고 있는 연수구(0.15%) 역이 상승했다.
경기도 전세가 상승률은 0.22%로 지난주(0.23%)에 비해 소폭 줄었지만 서울 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수원 권선구(0.62%)는 세류동 및 호매실지구 등 교통여건 및 기반시설 양호한 단지 위주로 전셋값이 강세였다. 용인 기흥구(0.50%)와 광명시(0.49%), 과천시(0.45%) 등에서 전세가가 올랐다.
지방 전세가는 0.16% 올랐는데, 5대광역시(0.17%)와 8개도(0.11%) 모두 상승했다. 초강세를 보이고 있는 세종 이번주에도 급등했다. 한 주동안 전셋값이 1.46% 상승해 지난주(1.39%) 보다 더 가팔라졌다.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과 전세매물 부족 등으로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로써 세종시는 올해들어 전세가가 25.27% 상승하게 됐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상승폭을 줄이면서 보합권에 들어서고 있다. 이번주에 0.01% 올라 지난주(0.02%) 보다 더 진정되는 모습이다. 중저가 단지의 상승세는 지속되고 있지만 부동산 3법 시행과 코로나 재확산 우려 영향 등으로 거래 감소해서다. 송파(0.00%)와 서초구(0.00%)는 관망세 짙어지며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동(0.01%)과 강남구(0.01%)는 소폭 올랐지만, 일부 단지에서 튀어오르는 매물의 영향일 뿐이다.
아파트 매매가는 강북지역이 상승률을 웃돌고 있다. 은평구(0.03%)는 녹번 불광동 신축 위주로, 중랑구(0.03%)는 묵 상봉신내동 역세권 위주로 집값이 올랐다. 동대문구(0.02%)와 성북구(0.02%)에서는 신축 위주로 상승했다.
수도권에서는 인천(0.03%)과 경기도(0.12%) 모두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심지어 인천 남동구는 구월 간석동에서 노후주택과 대형평형 위주로 집값이 떨어지면서 0.07%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역세권과 중저가 단지, 정비사업 기대감이 있는 지역에서는 꾸준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태릉CC, 구리갈매역세권 개발 기대감 있는 구리시(0.26%) 또한 올랐다.
지방 집값은 보합세인 가운데, 세종시 아파트 매매가는 상승폭을 축소했다. 세종시는 이번주 상승률이 0.66%를 기록해 지난주(1.59%)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급등에 대한 피로감으로 집값이 주춤한 것으로 보인다. 행복도시 내 고운 아름동 등 그간 상대적 저평가 지역과 조치원 일부 구축에서는 상승세를 나타냈다. 세종시의 올해 아파트값 누적 상승률은 34.56%를 기록중이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