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 부결로 직선 2기 지도부가 자진 사퇴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27일 비상대책위원장으로 김재하 부산본부장을 선출했다. [사진=뉴스1]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 부결로 직선 2기 지도부가 자진 사퇴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27일 비상대책위원장으로 김재하 부산본부장을 선출했다. [사진=뉴스1]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 부결로 직선 2기 지도부가 자진 사퇴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27일 비상대책위원장에 김재하 부산본부장을 선출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서울 정동 민주노총에서 간부 중심의 임시 중앙집행위원회(중집)을 열고 비대위 구성을 논의한 결과 비대위원장에 김재하 부산본부 본부장을 만장일치로 선출했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규약에 따르면 직선으로 선출된 위원장과 수석부위원장, 사무총장 등 임원이 전원 유고 시에는 비대위가 그 권한을 대행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비대위는 중집이 위촉하며 중앙위원회 인준을 받아야 한다.

김재하 비대위원장은 1961년생으로 부산대학교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했다. 그는 철도노조 조합원 출신으로 철도노조 부산본부장을 역임했고 부산적폐청산시민사회 상임대표를 겸임하고 있다. 민주노총 내에서 강경파로 분류된다.

비대위는 노사정 합의안 표결과 지도부 사퇴 과정에서 겪은 내홍을 수습하고 '전태일 3법'을 비롯한 하반기 투쟁 사업 등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또 김명환 전 위원장의 임기가 당초 올해 말까지로 차기 위원장 선거를 앞둔 만큼 비대위는 사실상 새 지도부 선출 준비에 착수한다는 전망이다.

비대위는 오는 30일 중집 회의에서 사무총장 역할을 대신하는 집행위원장과 나머지 비대위원 선출 등 비대위 구성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다음달 20일에는 중앙위에 제출할 비대위 구성안과 하반기 사업계획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

김재하 비대위원장은 "민주노총이 어느 때 보다 어렵다"며 "전태일 3법 발의를 비롯한 하반기 투쟁과제가 엄중한데 민주노총이 조합원과 함께 다시 희망과 도약의 계기를 만들 수 있도록 함께 투쟁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27일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에서 열린 제14차 임시 중앙집행위원회에서 백석근 전 사무총장, 김명환 전 위원장, 김경자 전 수석부위원장이 인사를 하고 있다. 김 전 위원장은 지난 24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 부결에 책임지고 사퇴했다. 2020.7.27/뉴스1
27일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에서 열린 제14차 임시 중앙집행위원회에서 백석근 전 사무총장, 김명환 전 위원장, 김경자 전 수석부위원장이 인사를 하고 있다. 김 전 위원장은 지난 24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 부결에 책임지고 사퇴했다. 2020.7.27/뉴스1
앞서 김명환 전 위원장은 지난 24일 노사정 합의안의 민주노총 내부 추인이 무산된 데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김명환 전 위원장은 당시 기자회견을 열어 "이미 예고한 대로 임기가 5개월 남짓 남았지만 (노사정 합의안 부결에) 책임을 지고 위원장, 수석부위원장, 사무총장직을 사퇴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