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탄 막장극'…다시 불붙는 한진家 오너리스크 비판 여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한진가 남매의 난 이어 모자의 난으로 '확전'
▽ 내년 3월 주주총회까지 갈등 이어질 듯
▽ 한진가 경영권 다툼에 대한 비판 여론 '확산'
▽ 내년 3월 주주총회까지 갈등 이어질 듯
▽ 한진가 경영권 다툼에 대한 비판 여론 '확산'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과 누나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간의 '남매의 난'이 '모자(母子)의 난'으로 확대하면서 조 일가를 향한 비판 여론이 악화하고 있어서다. 이미 '땅콩회황', '물컵 갑질' 등으로 오너리스크를 혹독히 치른 한진그룹이 경영권 다툼으로 다시 사회적 공분을 살 수 있다는 지적이다.
ADVERTISEMENT
한진가 오너리스크 우려가 더 불붙은 계기는 지난 성탄절 벌어진 '모자(母子) 싸움' 때문이다. 재계에 따르면 조현아 전 부사장이 동생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의 경영 방식을 공개 비판한 지 이틀 만인 지난 25일 조 회장은 어머니인 이명희 정석기업 고문과 서울 평창동 자택에서 다퉜다.
조 회장은 어머니가 경영권을 두고 조 전 부사장에게 힘을 실어준 데 대해 문제를 삼은 것으로 알려졌다. 성탄절 조 회장은 서울 종로구 평창동에 있는 어머니 자택을 방문했다가 말다툼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ADVERTISEMENT
드라마 막장극을 보는 듯한 재벌가의 성탄절 다툼에 비판 여론은 더 거세졌다. 대다수 주주와 임직원들 역시 경영권 다툼으로 불안감을 호소했다. 대한항공 노조는 "지주회사인 한진칼 지분을 둘러싼 오너 남매의 경영권 논란에 대한 기사를 접하면서 깊은 실망과 우려를 표명한다"며 "지주사 경영권에 대한 분쟁을 야기하는 것은 사회적인 공분만을 더욱 가중시킨다"고 지적한 바 있다.
ADVERTISEMENT
이 고문은 지난 4월 사망한 아버지 고(故) 조양호 회장의 보유 지분을 상속받으면서 한진칼의 지분 5.31%를 보유하고 있다. 막내 조현민 한진칼 전무는 6.47%의 지분을 갖고 있다.
이처럼 오너 일가의 갈등이 확산하면서 내년 3월 열리는 한진그룹 지주사 한진칼 주총에서 조 회장의 사내이사 연임 여부를 두고 표 대결이 벌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ADVERTISEMENT
또 국민연금이 주주권을 행사할 지 여부도 변수가 될 전망이다. 국민연금은 한진칼의 지분 4.11%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 국민연금 최고 의결기구인 기금운용위원회는 스튜어드십 코드의 후속 조치인 가이드라인을 의결했다. 해당 가이드라인은 횡령·배임 등으로 기업가치가 추락했지만 개선 의지가 없는 기업에 국민연금이 주주제안을 행사한다는 내용이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