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인터뷰] 이시종 충북지사 "내년 도정 기조는 경자천하지대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호축 개발, 투자 유치, 문화체육관광 인프라 확충 노력"
"농민수당, 단체·도의회·시민단체 여론 수렴해 검토할 것" 이시종 충북지사는 26일 "경자천하지대본(經者天下之大本)을 내년 도정 기조로 삼아 경제에 올인, 도민의 먹고사는 걱정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이를 위해 강호(강원∼충청∼호남)축 개발 본격화, 투자 유치 확대, 문화체육관광 인프라 확충, 도시-농촌 및 청주-비청주권 균형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방침도 꺼내놨다.
그는 올해 성과로는 35조원대의 SK하이닉스 반도체 투자 유치, 청주국제공항 거점 항공사 탄생, 미래해양과학관 국비 확보, 10조원을 웃도는 투자 유치 성과 등을 꼽았다.
다음은 이 지사와 일문일답.
-- 올해 도정 성과를 꼽는다면.
▲ 100년 먹거리가 될 낭보가 연이어 날아들면서 보람과 경사가 아주 많았다.
1월에는 강호축 등 12조9천억원에 달하는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 면타 대상으로 확정됐고 2월에는 35조원대의 SK하이닉스 반도체 투자를 유치했다.
3월에는 20년 묵은 숙제인 거점 항공사(에어로K)가 탄생했고, 5월에는 2030년 세계 3대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도전을 선포했다.
12월에는 소방복합치유센터와 국립 미래해양과학관 국비가 확보됐다.
올해 충북도는 도정 사상 최대 규모인 10조3천828억원(12월 17일 기준)의 투자를 유치했고 내년도 정부예산 6조854억원을 확보하면서 6조원 시대를 열었다.
충주 세계무예마스터십도 성공 개최했고 전국체전 6위, 장애인체전 3위의 쾌거를 거뒀다.
인구 164만 시대도 개막했다.
-- 내년 도정 운영 방향은.
▲ 대내외적인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전국 대비 4% 경제 달성과 앞으로 다가올 강호축 시대에 대비해 100년 미래의 기틀을 완벽히 다져야 하는 중요한 해다.
경자천하지대본을 도정 기조로 삼아 경제에 올인, 도민의 먹고사는 걱정을 해소하겠다.
강호축 개발을 본격화하면서 바이오,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시스템반도체 후공정 플랫폼, 차세대방사광가속기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신산업을 육성하겠다.
청주 오송과 충주 국가산업단지 추가 조성 등을 통해 투자 유치에 매진하고 맞춤형 평생 복지 실현에 노력하겠다.
미래해양과학관 건립을 추진하면서 청주공항 노선 확충 등 문화체육관광 인프라도 확충하겠다.
자치연수원 제천 이전, 농업기술원 영동분원 설치, 도립대 기숙사 신축, 충북형 농시(농촌도시) 조성사업과 도시-농촌, 청주-비청주권 균형 발전도 본격화하겠다.
--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의 핵심인 오송 연결선이 반영되지 않았는데, 향후 계획은.
▲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오송 연결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술적 어려움과 기존 운행 열차의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들어 한국개발연구원(KDI) 적정성 검토에서 제외됐다.
도는 당초 구상했던 호남고속선 학천터널 종점부에서 연결선이 분기하는 방안과 평택∼오송 2복선 사업의 신설 구간을 활용해 연결선을 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호남지역과 다각도로 협의하면서 공조체계를 구축, 정부를 설득하겠다.
-- 농민수당 도입 요구가 거센데.
▲ 도내 7만5천여 농가에 연 120만원씩 수당을 지급한다면 900억원의 막대한 예산이 소요된다.
충북 농정예산 5천779억원의 16%에 달한다.
도와 시·군이 국비 지원 없이 별도로 재원을 마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농민수당 지급을 위해서는 농업 전체예산에 대한 구조조정이나 예산 절감 등의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
농지형상 유지, 환경보전, 비료·농약 사용 저감 등 농업의 공익적 활동 증진 노력이 우선돼야 하며, 도민 공감대도 형성돼야 한다.
농업인단체, 도의회, 시민단체 여론을 종합적으로 수렴해 검토하겠다.
-- 시스템 반도체 산업 육성 계획은.
▲ 충북은 반도체 산업 집적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다.
국내 최고 수준의 반도체 기업인 SK하이닉스, DB하이텍, 매그나칩이 있고 네패스 등 후공정 분야에서도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이 많다.
모두 더하면 120여개 기업이 있다.
시스템 반도체 후공정 플랫폼 구축 및 융복합산업타운 조성 등을 통해 충북을 시스템 반도체 거점지역으로 만들겠다.
-- 지난달 발표된 정부의 'K-뷰티 국제경쟁력 강화' 대책과 맞물려 충북의 주력산업인 화장품·뷰티산업 발전도 기대되는데.
▲ 2013년 오송 화장품·뷰티 세계박람회 개최 이후 충북이 K-뷰티를 선도하고 있다.
그 이후 도내 화장품 생산량은 2013년 1조8천567억원에서 지난해 5조3천313억원으로 2.9배 성장했고 수출액도 4억3천700만달러에서 15억7천400만달러로 3.6배 늘었다.
2015년 화장품·뷰티산업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한 후 화장품 임상 연구 지원센터 등 인프라 조성, 연구개발, 마케팅 등을 지원해 왔다.
내년부터 5년간 적용될 제2차 화장품·뷰티산업 육성 종합계획도 수립 중이다.
2024년에는 85만㎡ 규모의 오송 화장품산업단지가 준공하며, 충북청주전시관 등 상설 홍보 전시공간도 마련된다,
정부의 K-뷰티 강화 대책에 맞춰 오송 국제 K-뷰티스쿨을 설립하고 대한민국 화장품박람회 오송 개최를 요청하겠다.
오송 화장품산업단지의 K-뷰티 클러스터 지정도 추진하겠다.
-- 시멘트 지역자원시설세 신설이 난항을 겪고 있는데
▲ 시멘트세는 시멘트공장 인근 주민의 건강 피해 등을 보상하고 환경을 보호·개선하는데 꼭 필요한 재원이다.
2016년부터 부단히 노력해 왔지만 지난달 21일 국회 심의 과정에서 변수가 생겨 계속 심사하기로 결정됐다.
20대 국회 만료 전 다시 한번 법안심사 기회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제천과 단양, 그리고 강원도 등 관련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해 법안 통과에 노력하겠다.
-- 세계무예마스터십위원회(WMC)의 자립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은데.
▲ 현행법상 국제기구에 대한 정부의 운영 지원은 제한적이다.
대부분 본부가 있는 지자체가 부담하고 있다.
재원 확보를 위해서는 제3회 대회 해외 개최지 확정이 급선무이다.
개최지가 확정되면 유치신청금(2만달러)과 개최권료(100만달러)가 생겨 어느 정도 재정 확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폰서십과 중계권료 등의 재원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WMC가 개최 후보국, 도시들과 신중하게 협의하고 있다.
그런 만큼 2023년까지는 도의 재정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 이후에는 수익구조로 전환될 수 있다.
/연합뉴스
"농민수당, 단체·도의회·시민단체 여론 수렴해 검토할 것" 이시종 충북지사는 26일 "경자천하지대본(經者天下之大本)을 내년 도정 기조로 삼아 경제에 올인, 도민의 먹고사는 걱정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이를 위해 강호(강원∼충청∼호남)축 개발 본격화, 투자 유치 확대, 문화체육관광 인프라 확충, 도시-농촌 및 청주-비청주권 균형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방침도 꺼내놨다.
그는 올해 성과로는 35조원대의 SK하이닉스 반도체 투자 유치, 청주국제공항 거점 항공사 탄생, 미래해양과학관 국비 확보, 10조원을 웃도는 투자 유치 성과 등을 꼽았다.
다음은 이 지사와 일문일답.
-- 올해 도정 성과를 꼽는다면.
▲ 100년 먹거리가 될 낭보가 연이어 날아들면서 보람과 경사가 아주 많았다.
1월에는 강호축 등 12조9천억원에 달하는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 면타 대상으로 확정됐고 2월에는 35조원대의 SK하이닉스 반도체 투자를 유치했다.
3월에는 20년 묵은 숙제인 거점 항공사(에어로K)가 탄생했고, 5월에는 2030년 세계 3대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도전을 선포했다.
12월에는 소방복합치유센터와 국립 미래해양과학관 국비가 확보됐다.
올해 충북도는 도정 사상 최대 규모인 10조3천828억원(12월 17일 기준)의 투자를 유치했고 내년도 정부예산 6조854억원을 확보하면서 6조원 시대를 열었다.
충주 세계무예마스터십도 성공 개최했고 전국체전 6위, 장애인체전 3위의 쾌거를 거뒀다.
인구 164만 시대도 개막했다.
-- 내년 도정 운영 방향은.
▲ 대내외적인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전국 대비 4% 경제 달성과 앞으로 다가올 강호축 시대에 대비해 100년 미래의 기틀을 완벽히 다져야 하는 중요한 해다.
경자천하지대본을 도정 기조로 삼아 경제에 올인, 도민의 먹고사는 걱정을 해소하겠다.
강호축 개발을 본격화하면서 바이오,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시스템반도체 후공정 플랫폼, 차세대방사광가속기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신산업을 육성하겠다.
청주 오송과 충주 국가산업단지 추가 조성 등을 통해 투자 유치에 매진하고 맞춤형 평생 복지 실현에 노력하겠다.
미래해양과학관 건립을 추진하면서 청주공항 노선 확충 등 문화체육관광 인프라도 확충하겠다.
자치연수원 제천 이전, 농업기술원 영동분원 설치, 도립대 기숙사 신축, 충북형 농시(농촌도시) 조성사업과 도시-농촌, 청주-비청주권 균형 발전도 본격화하겠다.
--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의 핵심인 오송 연결선이 반영되지 않았는데, 향후 계획은.
▲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오송 연결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술적 어려움과 기존 운행 열차의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들어 한국개발연구원(KDI) 적정성 검토에서 제외됐다.
도는 당초 구상했던 호남고속선 학천터널 종점부에서 연결선이 분기하는 방안과 평택∼오송 2복선 사업의 신설 구간을 활용해 연결선을 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호남지역과 다각도로 협의하면서 공조체계를 구축, 정부를 설득하겠다.
-- 농민수당 도입 요구가 거센데.
▲ 도내 7만5천여 농가에 연 120만원씩 수당을 지급한다면 900억원의 막대한 예산이 소요된다.
충북 농정예산 5천779억원의 16%에 달한다.
도와 시·군이 국비 지원 없이 별도로 재원을 마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농민수당 지급을 위해서는 농업 전체예산에 대한 구조조정이나 예산 절감 등의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
농지형상 유지, 환경보전, 비료·농약 사용 저감 등 농업의 공익적 활동 증진 노력이 우선돼야 하며, 도민 공감대도 형성돼야 한다.
농업인단체, 도의회, 시민단체 여론을 종합적으로 수렴해 검토하겠다.
-- 시스템 반도체 산업 육성 계획은.
▲ 충북은 반도체 산업 집적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다.
국내 최고 수준의 반도체 기업인 SK하이닉스, DB하이텍, 매그나칩이 있고 네패스 등 후공정 분야에서도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이 많다.
모두 더하면 120여개 기업이 있다.
시스템 반도체 후공정 플랫폼 구축 및 융복합산업타운 조성 등을 통해 충북을 시스템 반도체 거점지역으로 만들겠다.
-- 지난달 발표된 정부의 'K-뷰티 국제경쟁력 강화' 대책과 맞물려 충북의 주력산업인 화장품·뷰티산업 발전도 기대되는데.
▲ 2013년 오송 화장품·뷰티 세계박람회 개최 이후 충북이 K-뷰티를 선도하고 있다.
그 이후 도내 화장품 생산량은 2013년 1조8천567억원에서 지난해 5조3천313억원으로 2.9배 성장했고 수출액도 4억3천700만달러에서 15억7천400만달러로 3.6배 늘었다.
2015년 화장품·뷰티산업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한 후 화장품 임상 연구 지원센터 등 인프라 조성, 연구개발, 마케팅 등을 지원해 왔다.
내년부터 5년간 적용될 제2차 화장품·뷰티산업 육성 종합계획도 수립 중이다.
2024년에는 85만㎡ 규모의 오송 화장품산업단지가 준공하며, 충북청주전시관 등 상설 홍보 전시공간도 마련된다,
정부의 K-뷰티 강화 대책에 맞춰 오송 국제 K-뷰티스쿨을 설립하고 대한민국 화장품박람회 오송 개최를 요청하겠다.
오송 화장품산업단지의 K-뷰티 클러스터 지정도 추진하겠다.
-- 시멘트 지역자원시설세 신설이 난항을 겪고 있는데
▲ 시멘트세는 시멘트공장 인근 주민의 건강 피해 등을 보상하고 환경을 보호·개선하는데 꼭 필요한 재원이다.
2016년부터 부단히 노력해 왔지만 지난달 21일 국회 심의 과정에서 변수가 생겨 계속 심사하기로 결정됐다.
20대 국회 만료 전 다시 한번 법안심사 기회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제천과 단양, 그리고 강원도 등 관련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해 법안 통과에 노력하겠다.
-- 세계무예마스터십위원회(WMC)의 자립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은데.
▲ 현행법상 국제기구에 대한 정부의 운영 지원은 제한적이다.
대부분 본부가 있는 지자체가 부담하고 있다.
재원 확보를 위해서는 제3회 대회 해외 개최지 확정이 급선무이다.
개최지가 확정되면 유치신청금(2만달러)과 개최권료(100만달러)가 생겨 어느 정도 재정 확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폰서십과 중계권료 등의 재원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WMC가 개최 후보국, 도시들과 신중하게 협의하고 있다.
그런 만큼 2023년까지는 도의 재정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 이후에는 수익구조로 전환될 수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