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경성대서 '사회맞춤형 LINC+ 사업단 2단계 출범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력 미스매치, 청년일자리 문제 해법 찾는 핵심사업"

지난 23일 부산 경성대 건학기념관에서 열린 ‘LINC+사업단 2단계 출범식’에 참석한 김태훈 교육부 직업교육정책관은 LINC+사업의 중요성을 이같이 강조했다. 대학과 기업의 산학협력 강화를 위해 추진된 LINC+사업은 산학협력 고도형과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으로 나뉜다. 이날 출범식에는 2단계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에 선정된 20개 대학 사업단이 자리했다.
ADVERTISEMENT
송수건 경성대 총장도 환영사에서 “경성대가 수행해온 모든 교육부 지원사업 가운데 LINC+사업이 가장 의미 있다”고 힘줘 말했다.
그는 “대학은 4차 산업혁명 도래와 함께 불확실성 속에서 학생들을 취업시켜야 하는 상황을 맞았다. 이제 기업과 사회의 수요를 소화하는 특성화 대학이 아니면 존재할 수 없는 기로에 섰다”면서 “기업과 대학을 연결해 이러한 문제를 풀어가는 계기가 LINC+사업이다. 신산업 수요까지 반영해야 하는 2단계 사업에도 지속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ADVERTISEMENT
특히 ‘자립화’ 단계로의 발전에 방점을 찍었다.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LINC+사업협의회장인 최창원 배재대 사업단장(사진)은 “1단계는 구축기였다. 2단계에선 정착 및 안정화가 필요하고 궁극적으로 자립화까지 나아가야 할 것”이라며 “그간 진행해온 기초적 수준의 산학협력, 즉 공동 연구개발(R&D)과 현장실습 개념을 뛰어넘는 기업과 대학의 ‘공동 선발·설계·운영’ 선도모델을 구축해 건강한 취업생태계를 조성해나가자”고 주문했다.
ADVERTISEMENT
부산=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