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노조, 회의장 밖으로  (사진=연합뉴스)
서울 버스 노조, 회의장 밖으로 (사진=연합뉴스)
15일로 예고된 버스 총파업 최종 협상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14일 밤늦게까지 전국 곳곳에서 버스 노사가 최종 담판을 벌이고 있다.

광주, 전남(13개 시군), 충남, 세종, 인천 등 5곳에서 파업을 철회했다. 한국노총 산하 충남세종지역자동차노동조합은 오후 2시부터 충남지방노동위원회에서 사 측과 1차 조정회의를 열어 임금 협상에 들어가 3시간 30분 만에 파업을 철회하는 데 합의했다. 13일 협상을 타결지은 대구를 포함하면 파업을 철회한 지역은 6곳이다. 경기도 버스노조가 노종쟁의 조정기간을 연장함에 따라 15일 예고됐던 파업이 유보됐다.

정부 여당은 이날 주 52시간제 도입으로 임금이 감소하는 버스 기사의 인건비 보전을 위해 요금인상과 광역버스에 대한 국고 지원 안을 내놓았다. 결국 버스 총파업이란 급한 불을 끄기 위해 국민 부담을 높이고 세금 투입을 늘린 셈이 됐다.

파업에 돌입하면 여파가 가장 심각한 서울은 이날 오후 3시부터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조정회의를 진행했지만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결국 밤 늦게 서울시 버스노조는 정부측이 사태해결 의사가 없다면서 협상장을 박차고 뛰쳐나간 것으로 알려졌다.

쟁점은 임금 인상이다. 노조는 임금 5.98% 인상, 정년 연장 등을 요구했지만 서울시 버스운송사업조합은 난색을 표하는 상황이다.

오후 11시 10분 기준 대구, 인천, 광주, 충남, 전남 일부 등은 버스노조가 파업을 철회했다.

문제는 그 외 서울, 경기도, 부산, 울산, 경남 창원, 충북 청주, 전남 일부 지역이다. 막판 협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파업에 돌입하게 된다. 부산 버스 노조는 부산지방노동위원회 마지막 조정회의에서 사용자 측에 협상 결렬을 선언하고, 조정위원의 조정중지 명령에 따라 파업이 최종 결정됐다.

서울 버스노조의 파업이 현실화되면 15일 오전 4시 첫차를 시작으로 해당 지역에서는 일제히 버스가 멈춰선다. 서울시는 파업에 대비해 지하철 1시간 연장 운행, 셔틀버스 투입, 택시 증차 등 비상 수송 대책을 마련한 상태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