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브럼스 "한미연합방위태세약화 동의안해…훈련공개 안할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한미군사령관 취임후 韓언론과는 처음 연합뉴스와 인터뷰
"주한미군 주둔은 동맹의 결정…평화협정과 무관"
"남북 군사합의서 전적으로 지원…어떤 의문도 없다" 로버트 에이브럼스(58) 주한미군사령관(한미연합사령관 겸직·육군 대장)은 13일 한미연합훈련 조정에 따른 연합방위 태세 약화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우려를 일축했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이날 용산 한미연합사령부에서 가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미연합 지휘소 훈련이었던 '키리졸브' 폐지와, 기간이 축소된 대체훈련(19-1 동맹) 실시 등으로 인해 연합방위태세가 흔들릴 수 있다는 일부 전문가들의 우려 제기에 대해 "그런 말을 하는 사람들이 전문가라는데 동의하지 않는다"며 "나는 37년 동안 이 일을 해왔다.
내가 전문가"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 연습은 물론이고 모든 연습은 우리의 요구수준을 충족할 것"이라며 "(과거와) 다른 점이 있다면 외교적 노력에 여지를 마련해주기 위해 그것을 공개하지 않는 것"이라고 밝혔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지난 12일에 종료된 새로운 한미연합 지휘소훈련인 '19-1 동맹'의 성과를 질문하자 "전 세계 모든 군대에 있어 훈련과 연습은 일상적인 활동"이라며 "우리는 모든 측면에서 전문가가 아닌 '달인의 경지'(mastery level)에 도달하기 위해 훈련을 한다"고 말했다.
이어 사령관은 "우리는 과거에 연합훈련에 대해 공개적인 태도를 보였다.
연합훈련을 동맹의 강함을 보여주고 (대북) 억지력을 발휘하는 메시지의 한 부분으로 활용했었다"며 "그러나 우리는 잠시 물러서 정치적, 군사적, 외교적 환경을 봐야 한다.
지난해 북한과 관련한 외교적 환경의 완전한 변화를 목격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017년과 비교해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은 많이 감소했다"며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연합훈련도 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한미군사동맹의 모든 고위급 지도자들은 우리 사령부와 군대가 어떠한 위기와 잠재적 적대행위에도 대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그것은 우리의 엄숙한 의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연합군이 준비돼 있다는 것을 알기에 여러분은 밤에 편안히 잘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작년 11월에 취임한 에이브럼스 사령관이 국내 언론과 인터뷰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또 평화협정 체결 이후 주한미군 주둔 여부에 대해 "주한미군의 주둔은 (한미) 동맹의 결정으로 향후 체결 가능성이 있는 평화협정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분명히 밝혔다.
그는 지난달 12일(현지시간) 미 상원 군사위원회에 출석한 자리에서 북핵 위협이 제거되거나 감소한 후에도 북한의 재래식 전력 위협 감소가 없다면 주한미군 주둔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의원 질의에 "모든 당사자 간에 평화협정이 맺어질 때까지는 그렇다"고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그의 발언은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주한미군에 대한 재검토의 여지가 있다는 뜻으로 해석돼 논란이 됐지만, 이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평화협정 체결이 주한미군 철수와 직결되는 것은 아님을 확인했다.
평화협정이 발효되더라도 주한미군의 계속 주둔 여부는 동맹국인 한미 양국이 전략적 판단에 따라 결정할 사안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한미연합군사령부의 국방부 영내 이전에 대해서는 "몇 가지 방안이 있고, 서로 다른 옵션을 검토하고 있다"며 "가까운 시일 내에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만날 필요가 있다.
대화를 해서 나의 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9·19 남북군사합의서'에 대해선 "동의하고, 전적으로 지원할 것"이라며 "그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문도 없다"고 밝혔다.
북한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공동관리기구에서 유엔군사령부는 빠지라고 요구하는 것에 대해서는 "여전히 대화 중"이라며 말을 아꼈다.
또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시기에 대해선 "한미 양국은 2015년에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에 합의했다"며 "모든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
(한미는) 전작권전환이라는 목표로 계속 가까이 나아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르면 상반기에 재개되는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과 관련해서는 "무엇보다 주한미군은 한국이 제공하는 모든 지원에 깊이 감사하고 있다"며 "주한미군 방위비분담금 특별협정(SMA)은 지원 중의 하나이다.
SMA 외에도 주한미군은 한국으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한미 양국이 이번에도 원활하게 합의에 도달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부친(전 육군참모총장)과 큰형(준장 예편), 작은형(대장 예편)이 모두 장군 출신인 집안 이력으로 '뼛속까지 군인' 이미지가 강하다.
기갑병과 출신으로 사우디 아라비아·쿠웨이트·이라크·아프가니스탄 등에서 전투를 지휘했고, 중장 시절에는 척 헤이글 당시 미국 국방부 장관 밑에서 참모를 했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주한미군사령관, 한미연합군사령관, 유엔군사령관, 주한미군 선임장교 등 4개의 직책을 맡고 있다.
전시(戰時) 한반도 전구(戰區)의 작전통제권을 보유한 연합군사령관이면서 유엔군사령관으로서 한반도 정전체제를 관리하는 책임도 맡고 있다.
/연합뉴스
"주한미군 주둔은 동맹의 결정…평화협정과 무관"
"남북 군사합의서 전적으로 지원…어떤 의문도 없다" 로버트 에이브럼스(58) 주한미군사령관(한미연합사령관 겸직·육군 대장)은 13일 한미연합훈련 조정에 따른 연합방위 태세 약화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우려를 일축했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이날 용산 한미연합사령부에서 가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미연합 지휘소 훈련이었던 '키리졸브' 폐지와, 기간이 축소된 대체훈련(19-1 동맹) 실시 등으로 인해 연합방위태세가 흔들릴 수 있다는 일부 전문가들의 우려 제기에 대해 "그런 말을 하는 사람들이 전문가라는데 동의하지 않는다"며 "나는 37년 동안 이 일을 해왔다.
내가 전문가"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 연습은 물론이고 모든 연습은 우리의 요구수준을 충족할 것"이라며 "(과거와) 다른 점이 있다면 외교적 노력에 여지를 마련해주기 위해 그것을 공개하지 않는 것"이라고 밝혔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지난 12일에 종료된 새로운 한미연합 지휘소훈련인 '19-1 동맹'의 성과를 질문하자 "전 세계 모든 군대에 있어 훈련과 연습은 일상적인 활동"이라며 "우리는 모든 측면에서 전문가가 아닌 '달인의 경지'(mastery level)에 도달하기 위해 훈련을 한다"고 말했다.
이어 사령관은 "우리는 과거에 연합훈련에 대해 공개적인 태도를 보였다.
연합훈련을 동맹의 강함을 보여주고 (대북) 억지력을 발휘하는 메시지의 한 부분으로 활용했었다"며 "그러나 우리는 잠시 물러서 정치적, 군사적, 외교적 환경을 봐야 한다.
지난해 북한과 관련한 외교적 환경의 완전한 변화를 목격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017년과 비교해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은 많이 감소했다"며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연합훈련도 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한미군사동맹의 모든 고위급 지도자들은 우리 사령부와 군대가 어떠한 위기와 잠재적 적대행위에도 대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그것은 우리의 엄숙한 의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연합군이 준비돼 있다는 것을 알기에 여러분은 밤에 편안히 잘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작년 11월에 취임한 에이브럼스 사령관이 국내 언론과 인터뷰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또 평화협정 체결 이후 주한미군 주둔 여부에 대해 "주한미군의 주둔은 (한미) 동맹의 결정으로 향후 체결 가능성이 있는 평화협정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분명히 밝혔다.
그는 지난달 12일(현지시간) 미 상원 군사위원회에 출석한 자리에서 북핵 위협이 제거되거나 감소한 후에도 북한의 재래식 전력 위협 감소가 없다면 주한미군 주둔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의원 질의에 "모든 당사자 간에 평화협정이 맺어질 때까지는 그렇다"고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그의 발언은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주한미군에 대한 재검토의 여지가 있다는 뜻으로 해석돼 논란이 됐지만, 이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평화협정 체결이 주한미군 철수와 직결되는 것은 아님을 확인했다.
평화협정이 발효되더라도 주한미군의 계속 주둔 여부는 동맹국인 한미 양국이 전략적 판단에 따라 결정할 사안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한미연합군사령부의 국방부 영내 이전에 대해서는 "몇 가지 방안이 있고, 서로 다른 옵션을 검토하고 있다"며 "가까운 시일 내에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만날 필요가 있다.
대화를 해서 나의 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9·19 남북군사합의서'에 대해선 "동의하고, 전적으로 지원할 것"이라며 "그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문도 없다"고 밝혔다.
북한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공동관리기구에서 유엔군사령부는 빠지라고 요구하는 것에 대해서는 "여전히 대화 중"이라며 말을 아꼈다.
또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시기에 대해선 "한미 양국은 2015년에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에 합의했다"며 "모든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
(한미는) 전작권전환이라는 목표로 계속 가까이 나아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르면 상반기에 재개되는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과 관련해서는 "무엇보다 주한미군은 한국이 제공하는 모든 지원에 깊이 감사하고 있다"며 "주한미군 방위비분담금 특별협정(SMA)은 지원 중의 하나이다.
SMA 외에도 주한미군은 한국으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한미 양국이 이번에도 원활하게 합의에 도달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부친(전 육군참모총장)과 큰형(준장 예편), 작은형(대장 예편)이 모두 장군 출신인 집안 이력으로 '뼛속까지 군인' 이미지가 강하다.
기갑병과 출신으로 사우디 아라비아·쿠웨이트·이라크·아프가니스탄 등에서 전투를 지휘했고, 중장 시절에는 척 헤이글 당시 미국 국방부 장관 밑에서 참모를 했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주한미군사령관, 한미연합군사령관, 유엔군사령관, 주한미군 선임장교 등 4개의 직책을 맡고 있다.
전시(戰時) 한반도 전구(戰區)의 작전통제권을 보유한 연합군사령관이면서 유엔군사령관으로서 한반도 정전체제를 관리하는 책임도 맡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