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즈만硏 한국에 첫 기술 이전…유망 바이오 발굴해 지속 투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모데카이 셰브스 부총장

모데카이 셰브스 와이즈만연구소 부총장(사진)은 4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기자와 만나 “한국 바이오업체에 와이즈만연구소의 기술을 이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와이즈만연구소의 기술지주회사인 예다(YEDA)의 회장도 맡고 있다.
ADVERTISEMENT
와이즈만연구소가 바이오리더스에 이전하는 기술은 암 전이를 막는 유전자인 p53에 관한 것이다. 셰브스 부총장은 “유방암 췌장암 대장암 등 대부분 암은 p53 유전자가 변이돼 발생한다”며 “우리 기술은 변이된 p53 유전자를 원상태로 되돌릴 뿐 아니라 암세포를 사멸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기술의 시장 가치를 32조원으로 추산했다.
와이즈만연구소와 바이오리더스, 이스라엘 창업투자회사 요즈마그룹은 와이즈만연구소 안에 공동 연구개발 센터를 설립해 p53을 이용한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셰브스 부총장은 바이오리더스에 기술이전하는 이유로 우수한 인력을 꼽았다. 그는 “바이오리더스는 우리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방식의 자궁경부암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고 연구진이 p53을 연구한 경험이 있다”고 했다.
ADVERTISEMENT
그는 “아시아 시장, 특히 한국을 주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셰브스 부총장은 “이갈 에를리히 요즈마그룹 회장이 3년 전 한국에 훌륭한 바이오업체가 많은데 왜 다국적 회사에만 기술이전을 하느냐고 문제 제기를 해 한국을 눈여겨보기 시작했다”며 “우수 인력과 잘 갖춰진 병의원 체계, 뛰어난 연구개발 역량이 한국 바이오산업의 경쟁력”이라고 했다. 와이즈만연구소와 예다는 매년 한국에서 콘퍼런스를 열 계획이다.
임유 기자/사진=허문찬 기자 freeu@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