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쉬운 해고·쉬운 채용'이 혁신성장 돕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용안정 내세워 변화 막지 말고
일터·직종 전환 수월하게 만들어
지식·경험 이종교배 활성화해야"
신민영 < LG경제연구원·경제연구부문장 >
일터·직종 전환 수월하게 만들어
지식·경험 이종교배 활성화해야"
신민영 < LG경제연구원·경제연구부문장 >
![[시론] '쉬운 해고·쉬운 채용'이 혁신성장 돕는다](https://img.hankyung.com/photo/201901/07.14362238.1.jpg)
2001년 ‘닷컴 버블’ 붕괴 때도 그랬듯이, 새로운 기술이나 산업의 출현 초기 열광적인 붐과 가파른 추락이 교차하는 광경은 낯설지 않다. 지금의 실리콘밸리를 보더라도 비즈니스로서 시기상조다 싶은 모습이 도처에 있다. 구글, 아마존 같은 대표적 혁신기업조차 아직은 기존 사업 영역에서 나오는 안정적인 매출과 이익으로 신기술과 비즈니스 모델 혁신에 투자하는 상태다. 캐시카우(수익 창출원) 없이 장밋빛 기대만으로 일을 벌여 놓은 기업들에 엄습한 겨울은 더욱 혹독할 전망이다.
ADVERTISEMENT
당시는 네트워크 인프라가 급격히 확산되면서 전통적인 산업 분야에 IT가 본격적으로 접목되기 시작하던 시기였다. 타 부문에 재취업한 IT 인력은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효과적인 전파자였으며 테크산업 특유의 자유로우며 실용적인 수평적 관계 지향의 일하는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도 촉매 역할을 했다. 보다 긴 기간으로 보면 기업과 산업 차원에서의 유연한 자원 재배분 성과는 거시경제 전반의 생산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도 이와 비슷한 일이 펼쳐질 수 있지 않을까. 2000년대 초 인터넷 사용이나 전자상거래 등에서 일한 이들이 기술 확산과 전파의 주역이었다면 앞으로는 뉴미디어나 데이터사이언스, 인공지능 같은 분야가 그 자리를 대신하겠지만, 눈을 안으로 돌리면 새해 경제정책에서 강조되는 혁신성장에도 비슷한 논리를 적용할 수 있을 듯하다. 근본적으로는 우리 기업들의 기술력 확보가 선결 과제가 될 것이다. 하지만 혁신성장 정책을 계기 삼아 산업구조 전환 정도의 큰 변화까지 염두에 둔다면 인력 및 자본의 재배치 또한 그에 걸맞도록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ADVERTISEMENT
산업구조 전환에 필요한 새로운 지식의 습득과 숙련, 보다 자유롭고 수평적 관계 지향의 일하는 문화 확산은 상당 부분 젊은 세대의 몫이다. 공장제 제조업 전성기에 형성된 표준화·조직화에 익숙한 기성세대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열고 꽃피우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유튜브 같은 새로운 채널을 통한 학습과 오락, 소통이 일상화된 세대가 지닌 감성, 발랄함, 끼 또한 유연한 고용환경에 훨씬 잘 부합한다. 과거 고용 안정성을 높이려던 기성세대 노력이 행여 새로운 변화를 지연시키고, 특히 현재와 미래 청년층의 기회를 가로막는 측면에 대해 다시 한번 되돌아봐야 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