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 새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수입차 시장이 성장통을 앓고 있다. 2007년 5만3390대에 그쳤던 국내 수입차 판매량은 지난해 23만3088대로 네 배 이상 늘었다. ‘일단 팔고 보자’는 식의 수입차 업체 판매 경쟁이 시장 전체의 외형 확대로 이어졌지만 급성장 후유증이 이어지고 있다. 사후서비스(AS) 부실 문제는 수입차 시장의 대표적인 고질병으로 꼽힌다. 수입차 업체들이 한국 시장과 고객을 ‘봉’으로 여겨 소비자를 기만하고 있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수입차 업체의 AS 부실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1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3월 기준 수입차 등록 대수는 190만7698대에 달하지만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등록된 수입차 서비스센터는 547곳에 불과하다. 서비스센터 한 곳당 3500대가량의 차를 맡는다는 계산이 나온다. 보험개발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완성차 5개사의 평균 수리 기간은 5.3일인 데 비해 주요 수입차 15개 브랜드의 평균 수리 기간은 8.2일에 달했다. 수입차 업체들이 매년 서비스센터 확장에 나서고 있지만 급격하게 늘어나는 수입차 판매량을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올 들어 치열해진 수입차 업체들의 할인 경쟁에도 미심쩍은 눈초리를 보내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수입차 업체가 전략적으로 정가를 비싸게 책정해놓고 선심 쓰듯 할인 공세를 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얘기가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들쑥날쑥한 고무줄 가격에 수입차 업체들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수입차 업체들의 할인 경쟁이 결국 비싼 부품값과 공임으로 소비자에게 되돌아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일부 수입차 업체들은 국내 소비자를 차별 대우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폭스바겐은 2016년 ‘디젤게이트(배출가스 조작)’ 파문 이후 미국 소비자들에게는 1인당 최대 1200만원의 보상금을 줬다. 이에 비해 국내 소비자들에게는 100만원짜리 서비스 쿠폰을 제공하는 데 그쳤다. 최근 연이은 차량 화재로 몸살을 앓고 있는 BMW는 ‘늑장 리콜’ 논란에 휩싸였다. 2016년부터 유럽에서 비슷한 화재 사고가 발생한 사실을 알면서도 한국에서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수입차 업체들이 판매량 급증에 힘입어 실적을 크게 불렸지만 사회공헌은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지난해 4조2664억원의 매출을 올렸지만 기부금은 26억원에 불과했다. 벤츠 관계자는 “벤츠코리아의 매출 대비 기부금 비중은 국내 완성차 업체들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지난해 매출 1조원을 돌파한 한국도요타의 기부금도 7억원에 그쳤다. 벤츠코리아의 지난해 배당성향(배당총액/순이익)은 전년보다 11.2%포인트 높은 63.2%에 달했다. 최대 주주인 독일 다임러그룹 본사로 송금하는 금액이 그만큼 많아졌다는 의미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