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중앙화' 가상화폐 거래소도 해킹…안전하다더니 왜 털렸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탈중앙화 블록체인 기술과 별개로 거래소는 중앙집중형으로 운영돼 해킹 타깃이 됐다는 기존 견해를 흔드는 사례라 이목이 집중된다. 지갑 프라이빗키를 개인이 직접 관리하는 P2P(개인간 거래) 방식의 탈중앙화 거래소(DEX)마저 해킹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다.
ADVERTISEMENT
전문가들은 DEX의 결함이라기보다는 거래소 지갑의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엄밀히 따져 탈중앙화 기능 자체에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니며, 따라서 이를 뭉뚱그려 ‘DEX마저 해킹됐다’고 표현하는 데는 어폐가 있다는 설명이다.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여러 연구에서 완벽히 탈중앙화된 거래소라 해도 해킹 당할 수 있다고 언급된 바 있다”고 전제한 뒤 “하지만 이번 사례의 경우 실제로는 완벽히 탈중앙화된 시스템을 적용하지 않은 탓에 해당 코인이 해킹 당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보스코인을 발행한 블록체인오에스의 강은성 최고정보보호책임자(CISO)는 “예컨대 거래소의 기본 소프트웨어(SW) 보안에 문제가 생겨 해킹될 수도 있다. 이는 탈중앙화 기능 문제가 아니라 SW 결함인데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지 않은 채 DEX마저 해킹 당했다는 인식이 확산된다면 곤란하다”고 짚었다.
탈중앙화가 마치 만병통치약이나 전가의 보도처럼 받아들여지는 것도 문제지만, 반대로 해킹이 일어났다고 해서 거래소 전체의 문제라거나 DEX도 믿을 수 없다고 확대 해석해 과잉 반응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ADVERTISEMENT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