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매일 3건씩 강제 할당… 접수기관 반발 부른 일자리안정자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자리안정자금 무리한 실적 채우기
근로복지공단 등 공공기관 직원들 집단행동
全부처 장·차관 홍보에도 신청 50% 밑돌아
"사업장 뺏어오기 경쟁… 중복 접수 수두룩
보여주기식 실적 압박에 본업도 제대로 못해"
근로복지공단 등 공공기관 직원들 집단행동
全부처 장·차관 홍보에도 신청 50% 밑돌아
"사업장 뺏어오기 경쟁… 중복 접수 수두룩
보여주기식 실적 압박에 본업도 제대로 못해"

◆“한 명당 하루 세 건 받아와라”
ADVERTISEMENT
다급해진 정부는 급기야 신청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접수기관 직원들을 압박하기 시작했다는 게 이들 기관 직원의 설명이다. 근로복지공단의 한 직원은 “직원 각자 ‘n분의 1’로 맡으라는 지시가 있었다”고 말했다. 근로복지공단 직원이 약 8000명, 일자리안정자금 신청 대상자가 약 240만 명인 점을 감안하면 직원 한 명당 300명씩 신청을 받으라는 얘기였다.
보건복지부 산하 건보공단과 국민연금도 마찬가지였다. 주무기관이 아니지만 같은 부처 산하에 있다 보니 서로 실적 경쟁까지 벌이는 상황이 됐다. 건보공단 관계자는 “‘국민연금보다 많이 해야 하지 않겠느냐’며 오는 15일까지 11만 건을 채우라는 지시가 있었다”며 “목표를 채우려면 본업을 제쳐놓고 전국 사업장을 돌아다녀야 할 판”이라고 했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경영진으로선 실적을 신경쓰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며 “관리자급 직원은 한 명당 하루 세 건씩 받아오라는 요구가 있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접수기관들의 불만은 커져가고 있다. 특히 국민연금과 건보공단은 주무기관이 아닌데도 정부 사업에 동원되면서 매일 야근과 주말 근무까지 하고 있다고 하소연한다. 이들 기관 직원은 급기야 인력과 예산을 늘려달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정부 관계자는 “일자리안정자금이 한시적이기 때문에 무턱대고 인력을 늘려줄 수는 없다”고 말했다.
각 기관이 경쟁을 벌이면서 지원요건이 안 되는 사업장도 일단 접수부터 하는 식의 ‘허수 신청’이 상당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이에 대해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어떤 정부 사업이든 신청한다고 다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고 심사를 해서 요건이 안 되면 탈락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ADVERTISEMENT
김일규/심은지 기자 black0419@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