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연세대 공동연구팀, 세계 최초 유전자 가위에 AI 접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전자 절단 최적 부위 찾아내

서울대는 윤성로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와 김형범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 공동연구팀이 AI를 활용해 유전자 가위의 효율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CRISPR)’는 가위처럼 특정 유전자를 절단해 원하는 형태로 교정하는 기술이다. 유전자의 잘못된 부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절단 효율이 높은 표적 부위를 선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ADVERTISEMENT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온라인판에 30일자로 게재됐다. 윤 교수는 “유전자 가위 제작 비용과 노동력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유전체 교정연구 속도를 비약적으로 높였다”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