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증시든 부동산 시장에서 쇼크, 패닉이 일어나는 건 예측하지 못한 일이 일어나는 겁니다. 그게 내가 어찌 손쓸수 없는 일이 일어날 때 특히 그런데요. 해외에서 일어나는 일이 국내에 영향을 미칠 때가 그렇고요. 해킹 같은 도난사태가 일어날 때도 그렇습니다. 이 두 가지를 잘 활용하면 가상화폐 광풍을 막을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일단 가상화폐시장에서 이 두 가지 악재가 겹쳤습니다. 하루 새 전세계적으로 다 떨어졌고요. 대부분의 가상화폐가 급락했죠. 비트코인은 20% 안팎으로 떨어졌습니다. 30%까지 떨어졌다가 낙폭을 줄어들고 있는데요. 미국에선 비트코인이 1만달러 선이 붕괴될 수 있을 정도였는데 1만1000달러선을 회복했습니다. 한국에서도 하루만에 20% 넘게 빠져 1400만원 1500만원선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게티 이미지 뱅크
Q. 구체적으로 어떤 일이 있었던가요.
ADVERTISEMENT
A. 가장 큰 이유는 중국발 쇼크입니다. 중국은 이미 가상화폐 거래소를 통한 가상화폐 매매를 금지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개인 간에 P2P 거래를 하고 있죠. 그런데 이번에 개인간 거래를 할 수 있는 P2P 온라인 플랫폼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접근을 막겠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확 빠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Q. ‘크라켄 서버 다운’ 사태라는 것도 있다는데 이건 뭔가요.
A. 크라켄은 미국 가상화폐 거래소인데요. 원 오브 뎀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세계 최대 선물거래소인 시카고선물거래소가 비트코인 선물 가격을 책정하는 그 기준을 제공하는 곳입니다. 일일 거래량으로 전 세계 5번째 정도 가상화폐 거래소입니다. 지난 11일 잠정적인 서버 다운 상태에 빠졌죠. 원래 2시간으로 예정됐던 서버 점검은 2일이 걸렸습니다. 지난 13일에서야 원상 복구됐습니다. 업그레이드 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정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알 수 없는 버그’가 발생했죠. 크라켄 측이 모든 거래 서비스와 인출을 중단하고 잠정적인 점검 지연에 들어간 거죠. 그러면서 일본의 마운트곡스 파산과 한국의 유빗 사태를 비교하며 비판적 기사가 나오면서 투자심리가 급랙했습니다.
ADVERTISEMENT
Q. 이제 만성질환자도 실손의료보험에 가입할 수 있게 됐다고요.
A. 고혈압약 같은 약을 지속적으로 복용하고 있는 경증 만성질환자도 4월부터 실손의료보험에 가입할 수 있게 됩니다. 4월부터 만성질환자와 유병력자에게 가입 문턱을 낮춘 '유병력자 실손의료보험' 상품 출시된다고 하네요. 이 상품은 수술이나 입원 등 치료 이력 심사 대상이 되는 기한을 5년에서 2년으로 줄였습니다. 기존 실손보험은 최근 5년간 치료 이력이나 암, 백혈병,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뇌출혈·뇌경색, 당뇨병 등 10개 질병 발병 이력이 있는 경우에 보험 가입이 거절됐었는데요. 앞으로 이런 병력이 있더라도 최근 2년간 입원이나 수술을 받지 않았다면 실손보험에 가입할 수 있게 됩니다. 다만 암은 5년간 발병 이력을 보기로 했습니다. 암은 의학적으로도 5년간 관찰을 거친 뒤에야 완치 판정이 내려지기 때문입니다.
게티 이미지 뱅크
Q. 혈압약 먹어도 실손보험에 가입할 수 있게 된다는데 맞나요.
A. 가입 심사 및 보장 항목에서 '투약'이 제외됩니다. 기존엔 투약 여부가 가입 심사 항목에 포함돼 간단히 약만 먹는 경증 만성질환자들이 가입할 수 없었어요. 하지만 앞으론 혈압약, 갑상선항진증약 등을 복용하는 경우에도 가입할 수 있습니다.
ADVERTISEMENT
Q. 보험료는 얼마나 더 비싸지는 거죠.
A. 일반 보험료보다 1만4000원 정도 더 비싸질 것으로 보입니다.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유병력자 실손보험료는 50세 남성의 경우 3만4230원, 여성은 4만8920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