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아직까지 스마트시티는 진행형이다. 기존 도시를 스마트시티로 바꾸는 것은 신도시 개발에 비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상황에서 스마트시티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첫째 효율적인 추진체계다. 스마트시티는 다양한 분야가 참여하고 서로에게 긍정적 역할을 해서 저비용, 고효율을 달성하려는 융복합적인 프로젝트다. 건물이나 시설물과 관련한 도시 인프라, ICT의 융복합화가 수반돼야 한다. 더 중요한 것은 이들 기능이 제대로 역할을 하도록 조율하는 ‘도시행정’이다. 도시의 밑받침이 되는 도시 인프라, 도시 각 분야의 효율화와 비용절감을 가져오는 ICT, 이들을 조율하고 지원하는 행정이 삼위일체가 돼야 스마트시티 건설과 운영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다.
둘째로 도시 정비와 스마트시티의 조화가 필요하다. 우리는 신도시 건설 방식의 스마트시티에서 다른 나라에 비해 강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런 방식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개발도상국은 신도시를 건설할 재원이 없고, 선진국은 새로 도시를 건설할 필요성이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 도시를 스마트시티로 바꾸는 모범 사례가 있어야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강국이 될 수 있다. 그동안 우리는 도시개발 또는 재개발을 통해 도시 인프라를 확충했다. 여기에 발전한 ICT를 결합해 기존 도시를 스마트시티화할 수 있었다. 서울 상암 DMC, 부산 센텀시티 등이 그 예다. 그러나 도시 전체를 스마트시티로 계획하거나 발전시키지는 못했다. 그런데 이번 정부 들어 재개발 방식보다는 인프라 개발이 수반되지 않는 도시재생을 강조하면서 이를 어떻게 스마트시티와 조화할 수 있을지가 당면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시계획과 스마트시티 계획을 함께 고려하는 종합적인 도시발전 목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협력이 중요하다. 신도시와 기존 도시의 스마트시티화를 모두 선도적으로 해 나가는 나라는 없다. 분야별로 앞서나간 국가의 경험과 기술을 받아들여 시행착오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필요가 있다. 주요 국가와 정보 및 지식의 교환, 기술 이전이나 벤치마킹, 특정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공동 추진 등이 필수적이다.
한만희 < 서울시립대 교수·국제도시과학대학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