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네이버 FARM] 돈 안된다고 사라진 돼지 90년 만에 되살린 청년
“조선 재래돼지는 체질이 강건하고 번식력이 강하다. 체격은 왜소하다. 성숙이 늦고 비만성이 결핍해 경제가치돈 중 최열등하니 이를 개량하는 것이 긴요하다.”(조선총독부 권업모범장 성적요람, 1927년)

돼지 종류는 다양하다. 세계적으로 100여 품종에 이른다. 그중 상업적으로 사육되는 것은 약 30종. 우리나라에선 주로 흰색 랜드레이스종과 요크셔종을 교배한 잡종 돼지가 사육된다. 해외에서 육성된 품종이다.

우리나라에는 흑돼지라고 불리는 재래돼지가 있었다. 만주지역에 서식하던 흑돼지가 고구려 시대부터 한반도에 들어와 정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제강점기 초반까지만 해도 재래돼지는 한국인 식탁에 올랐다.

[한경·네이버 FARM] 돈 안된다고 사라진 돼지 90년 만에 되살린 청년
1920년대 말부터 조선총독부가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재래돼지를 개량하기 시작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외래종인 버크셔를 들여와 교배시켰다. 85~90㎏까지만 자라는 기존 재래돼지 대신 100㎏ 넘게 자라는 새로운 품종의 흑돼지가 생겨났다. 1970년대 흰색 돼지인 요크셔종이 대거 도입되면서 재래돼지는 거의 자취를 감췄다.

재래돼지는 사라진 것일까. 이 질문에 “아직은 아니다”고 답하는 농부가 있다. 경북 포항에서 돼지를 키우는 이한보름 송학농장 대표(39)다. 그는 지난달 재래돼지로 만든 요리를 선보이는 팝업레스토랑을 서울에서 열었다. 재래돼지를 일반 소비자에게 소개하기 위한 자리였다. 그는 “송학농장은 민간에 유일하게 남은 재래돼지 사육 농장”이라고 소개했다.

1988년 국내에 재래돼지 바람이 불었다. 신토불이 운동이 본격화된 시점이다. 농촌진흥청은 고유 돼지 품종을 복원하기 위해 자료 조사를 시작했고 농장들도 이에 부응해 재래돼지 사육을 시도했다. 송학농장은 1992년부터 재래돼지를 키우기 시작했다. 제주, 남원, 고성 등 흑돼지로 유명한 전국 산지에서 흑돼지를 사들였다. 당시 농장은 이 대표 아버지인 이석태 씨가 이끌고 있었다.

이씨는 문헌에 나온 재래돼지의 외형인 ‘털이 검고, 코가 길며, 안면 주름이 있고, 턱이 곧은’ 특징에 따라 전국에서 사온 흑돼지를 분류했다. 유전자 추적을 통한 육종을 연구하던 여정수 영남대 교수와 함께 재래돼지의 고유한 유전형질 여덟 개도 발굴했다. 이씨는 이 공로로 2003년 철탑산업훈장을 받았다.

가업을 잇기로 마음먹은 이 대표는 영남대 동물생명과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했다. 그는 재래돼지를 확실히 복원하는 방법은 유전학적 증명이라고 생각했다. 영남대 연구팀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DNA를 분석하면 우리 고유의 돼지에는 해외 종인 버크셔, 요크셔, 랜드레이스 등에는 없는 염기 서열이 나타납니다. 외형적으로 비슷한 재래돼지 중에서도 같은 DNA를 가진 집단을 분류해냈습니다.”

[한경·네이버 FARM] 돈 안된다고 사라진 돼지 90년 만에 되살린 청년
이 대표는 2007년 재래돼지 DNA 분석과 관련한 특허도 냈다. 그러나 소비자가 이 돼지의 고기를 소비하지 않으면 산업적으로 생존하기 어렵다. 1999년 재래돼지 식당인 노적봉가든이라는 프랜차이즈를 낸 건 이 때문이다. 노적봉가든 점포는 열 개까지 늘어났다. 하지만 돼지를 공급하는 송학농장은 적자가 쌓여갔다. 이 대표는 “당시 일반 돼지고기에 비해 20%가량 비싼 값을 받았지만 원가 이하였다”고 말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먹는 돼지고기를 제공하는 YDL(요크셔, 듀록, 랜드레이스의 삼원교잡종) 품종은 6개월 만에 100~115㎏까지 크는 데 비해 재래돼지는 10개월이 지나도 85㎏에 불과하다. 노적봉가든은 2009년 문을 닫았다. 재래돼지가 생산성이 낮다는 조선총독부의 지적은 2000년대에도 유효했다.

이 대표는 재래돼지 사육도 그만두려고 했다. 적자를 견디기 어려웠다. 2006년 재래돼지협회가 출범할 정도로 세를 넓히던 재래돼지 농가들도 하나둘 사업을 접기 시작할 무렵이었다. 이 대표를 붙잡은 건 아버지였다. “재래돼지 그거 보존하면서 취미삼아 해보면 어떻겠냐?”

재래돼지를 팔 생각을 하지 않고 연구만 해보자고 마음 먹었다. 딱 300마리만 남겼다. “우리 농장이 4000마리 규모거든요. 일반 돼지를 키워 번 돈으로 재래돼지 연구를 계속하는 셈이죠.”

이후 7~8년간 그는 재래돼지를 고기로 팔지 않았다. 연구만 했다. 경북도립대 겸임교수로 출강하며 재래돼지에 대해 강의를 했다. 올해부터는 도비를 지원받아 경북축산기술연구소, 단국대 연구팀과 함께 경북형 재래돼지 산업화 연구를 시작했다.

“저희와 함께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재래돼지 농가가 작년에 폐업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송학농장이 그만두면 대한민국에서 재래돼지를 연구하는 농가가 아예 없어지는 거예요. 그럴 수는 없다고 생각했어요. 재래돼지가 연구기관에만 있는, 우리 삶과 거리가 먼 돼지로 남아있게 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FARM 강진규 기자

전문은 ☞ m.blog.naver.com/nong-up/221058459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