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마다 정부조직개편] 정권 바뀔 때마다 정부조직 '칼질'…"눈치 보는 공무원 키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 정권 입맛 따라 개편
국정철학 내세워 쪼개고 붙이고 30년간 반복
시너지보다는 '한 지붕 두 가족' 갈등만 불러
"공무원 줄세워 길들이기" 세종관가 불만 커져
국정철학 내세워 쪼개고 붙이고 30년간 반복
시너지보다는 '한 지붕 두 가족' 갈등만 불러
"공무원 줄세워 길들이기" 세종관가 불만 커져

A국장은 올해 짐을 한 번 더 싸야 할 처지다. 정권이 바뀌면 소속 부처가 ‘해체 대상 1순위’로 꼽혀서다. A국장은 “불안감에 잠이 안 온다”고 했다.
ADVERTISEMENT
![[5년마다 정부조직개편] 정권 바뀔 때마다 정부조직 '칼질'…"눈치 보는 공무원 키웠다"](https://img.hankyung.com/photo/201701/AA.13255860.1.jpg)
더불어민주당이 지난달 차기 정부 조직개편안을 공개한 데 이어 각 대선 후보 진영이 자체 개편안을 준비하고 있는 데 대해 공무원들의 불만은 한가지로 모아진다. “공직사회를 또 줄 세우고 길들이겠다는 의도가 아니냐”는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 해체’ 등 정부 조직을 찢고, 없애고, 붙이는 내용만 있고 권력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공직사회 문제의 해법은 찾을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공정거래위원회의 한 국장은 “조직개편안을 공개하고 인사·승진에 몸 단 공무원들을 줄 세워 공직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행태가 5년마다 되풀이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출신 조직 간 갈등 부추겨
정권마다 조직개편의 이유로 ‘효율성’을 내세운다. 하지만 역대 사례를 보면 조직 떼고 붙이기는 ‘시너지’보다 ‘한 지붕 두 가족’ 같은 어정쩡한 상황만 만들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출신 조직 간 갈등을 부추겨 ‘비효율성’만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ADVERTISEMENT
◆권력 눈치 안 보게 하는 게 중요
행정연구원이 지난해 10월 ‘역대 정권의 조직개편 빈도와 정도의 적절성’에 대해 설문한 결과 15.9%만 ‘적절했다’고 답했다. 한 대학의 행정학과 교수는 “새로운 집권세력의 조직개편을 당연한 권력행사이자 정치행위로 생각하는 게 문제”라며 “외부와의 소통 없이 소수 비전문가가 모여 조직개편안을 마련하는 것도 고쳐야 한다”고 꼬집었다.
ADVERTISEMENT
황정수/김주완 기자 hjs@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