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창] "중앙은행이 성장을 만들어내기는 어렵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효과보다 부작용 많은 마이너스금리 정책
확대 재정정책과 구조개혁을 같이 해야
최희남 < 세계은행 상임이사 >
확대 재정정책과 구조개혁을 같이 해야
최희남 < 세계은행 상임이사 >
![[세계의 창] "중앙은행이 성장을 만들어내기는 어렵다"](https://img.hankyung.com/photo/201609/AA.12498666.1.jpg)
일본은행의 구로다 총재는 마이너스 금리 정책으로 30년 만기 일본 정부채 금리가 연 1.5%에서 0.5%로 하락해 차입과 지출이 늘어나고,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고 자국 통화정책을 옹호했고, 유럽중앙은행의 퀴레 상임이사는 유로존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은 과도하거나 비도덕적인 정책이 아니라고 정당성을 부여했다. 옐런 의장은 향후 추가적인 통화완화 정책을 한다면 매입 대상 채권을 국채에서 확대하거나 인플레이션 목표를 상향함으로써 추가적인 양적완화 기반을 확대하고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타기팅하는 방안을 언급했으나 마이너스 금리 도입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ADVERTISEMENT
기본적으로 명목정책금리가 제로(0) 수준에 도달한 상황에서 디플레이션에 대한 중앙은행의 강력한 대응 의지를 보여주면서 그간 확대해온 양적완화로 매입 대상 채권이 줄어 기존 정책의 효과가 한계에 이르게 돼 새로운 통화정책으로 추진한 것이다. 이런 대응이 효과를 봤는지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나 당장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은행권의 예대마진 축소에 따라 은행의 자금 중개 기능이 약해지고 은퇴에 대비한 개인의 저축 확대로 오히려 당초 의도한 소비, 투자 확대를 가져오지 못해 실물경기 부양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보험사나 연금사의 경우 펀드 수익률을 맞추기 위해서 고위험 투자를 확대하고, 부동산 증권 등 자산시장 거품이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이다.
ADVERTISEMENT
양적완화를 보완하기 위한 마이너스 금리정책은 기존 통화정책을 뛰어넘는 극단적인 정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효과는 기대보다 미흡하고 부작용이 많다는 것이 문제다. 이런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려면 확대 재정정책과 구조개혁을 같이하는 삼두마차가 필요하다. 랜덜 크로츠너 시카고대 교수의 “중앙은행은 디플레이션에 대응할 수 있으나 성장을 만들어내기는 어렵다”는 말이 새삼 가슴에 와 닿는다.
최희남 < 세계은행 상임이사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