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구마모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천자칼럼] 구마모토](https://img.hankyung.com/photo/201604/AA.11552401.1.jpg)
정유재란 때 왜군 선봉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는 남부 지역을 휘젓다가 1597년 11월 울산에 진을 쳤다. 그는 추위에 대비하고 전투 거점으로 삼기 위해 성을 쌓기 시작했다. 그게 지금의 학성동(鶴城洞)에 있는 울산성이다. 성의 완공 직후 이곳에서 정유재란 최대 전투가 벌어졌다. 조·명 연합군 5만명에 포위돼 죽음 직전까지 내몰린 그는 구원군의 도움으로 겨우 목숨을 부지했다.
ADVERTISEMENT
이 성을 둘러싼 돌담은 일본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돼 있다. 그만큼 가치가 높은데, 이번 지진으로 돌담 약 100m가 허물어지고 균열이 생겼다. 성의 중심 건물인 천수각(天守閣) 지붕 기와도 무너져 내렸다. 성 전체에서 먼지구름이 뽀얗게 피어오르는 모습까지 목격됐다. 축성 400주년인 내년까지 성을 온전하게 복원하려던 작업도 차질을 빚게 됐다.
그렇잖아도 지난해 인근 아소(阿蘇)산(1592m)의 폭발로 혼비백산했던 사람들이다. ‘불을 뿜어내는 산’이라는 뜻의 아소산은 분화구가 백두산의 10배에 달한다. 서울까지의 직선거리가 불과 650㎞로 도쿄(900㎞)보다 더 가까운 곳 아닌가. 직선거리로 300㎞밖에 안 되는 부산에서 그저께 지진 감지 신고가 137건이나 접수됐다니 더욱 실감이 난다.
ADVERTISEMENT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