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벨기에와 이슬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권영설 논설위원 yskwon@hankyung.com
![[천자칼럼] 벨기에와 이슬람](https://img.hankyung.com/photo/201603/AA.11443585.1.jpg)
프랑스, 독일과 국경이 닿아 있고 영국과는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는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수많은 외침에 시달렸다. 특히 1, 2차대전 때는 독일군에 완전히 점령된 최대 피해지였다.
ADVERTISEMENT
북쪽 플랑드르 지역에 사는 ‘플라밍’들은 전 국민의 57%로 네덜란드어를 쓴다. 남쪽 왈로니아지역에 사는 ‘왈롱’은 인구의 32% 정도인데 프랑스어를 사용한다. 1%밖에 안 되지만 독일어를 공용어로 쓰는 지역도 있다. 지방 정부가 워낙 강해 1993년 출범한 연방정부가 힘을 못 쓰고 있다. 2010~2011년엔 541일간 장관들이 없는 ‘무내각’ 상태가 된 적도 있다.
지방정부가 강력하다 보니 경찰도 6개 행정조직마다 다른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행정이나 치안은 불안한데도 도시는 국제적인 개방도시다. 테러리스트들이 언제든 열차를 타고 유럽 어느 곳이든 도주할 수 있다. 벨기에는 특히 밀항도 비교적 쉬워 불법 난민, 이민자들이 더욱 몰려들고 있다. 테러리스트들이 암약하기에 좋은 환경이 된 것이다.
ADVERTISEMENT
결국 이민자들에 대한 정책 실패가 ‘외로운 늑대들’을 자라게 한 것이다. 여기에 이슬람 이민자들에 대한 차별은 심한 편이다. 벨기에가 서유럽에서 IS 등 극단주의 무장단체에 가입한 사람이 가장 많은 나라가 된 데는 이런 이유가 있다.
권영설 논설위원 yskwo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