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이커머스) 기업 징둥이 한국 시장에 진출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최근 국내에 자체 물류센터를 마련해 운영을 시작하면서다.24일 유통·물류업계에 따르면 징둥닷컴 산하 물류기업인 징둥로지스틱스가 최근 인천과 이천에 자체 물류센터를 마련해 운영을 시작했다. 한국과 글로벌 판매자들의 물류 사업을 대행한다. 우선 미국 소비재 브랜드의 한국 내 물류 대행과 국내 뷰티 기업의 해외 진출 관련 물류 업무를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징둥닷컴 계열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 '징둥 월드와이드'를 통해 한국산 제품을 중국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해외 직접판매 물류 서비스도 운영한다.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고 점차 범위를 넓혀 나갈 전망이다.그동안 중국의 중소 물류업체가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계 이커머스 플랫폼의 한국 물류 대행 업무를 맡은 적은 있지만 한국에 물류센터를 직접 운영하는 건 처음이다. 업계에선 징둥닷컴의 한국 이커머스 시장 진출을 위한 사전 작업이라고 보고 있다.징둥닷컴은 1998년 중국에서 설립된 최대 이커머스 업체로 중국의 아마존으로 불린다. 미국의 아마존과 한국의 쿠팡처럼 직접 상품을 매입해 판매하는 방식으로 사업한다.징둥닷컴이 한국 시장에 진출할 경우 파장이 클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매출 규모가 2022년 기준 1517억달러(약 217조원)로 2024년 쿠팡(41조원)의 4배가 넘는다. 최근 미국의 유력 경제지 포천(Fortune)이 선정한 글로벌 500대 기업 중 47위에 올랐다.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징둥닷컴의 취급 물량이나 규모는 한국에서 사업하는 알리익스프레스나 테무와
반도체 테스트 분야 부품 업체인 샘씨엔에스가 1분기 매출액이 157억5500만원, 영업이익이 14억3000만원을 기록했다고 24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5%, 138% 증가한 수치다.샘씨엔에스의 주력 제품은 다층 세라믹 기판으로, 반도체 테스트 장비의 핵심 부품인 프로브카드에 사용되는 세라믹 STF(공간변형기)를 만든다. STF는 반도체 웨이퍼의 칩과 테스터를 연결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비롯해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기업들이 주요 고객이다.샘씨엔에스는 2024년 HBM 수요 증가와 차세대 낸드 전환 투자 효과에 힘입어 창립 이래 최대 매출을 달성한 바 있다.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대비 72.3% 증가한 533억원, 영업이익은 52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지난해 호실적에 이어 올해 1분기까지도 호실적이 이어지고 있다. 샘씨엔에스 관계자는 "낸드의 가동률 회복과 D램, HBM용 세라믹 STF 수요가 늘면서 작년 대비 실적 개선폭이 컸다"며 "유럽계 프로브카드 기업과 공동 개발을 통해 국내외 주요 종합반도체업체(IDM)에 하이엔드급 HBM용 세라믹STF 공급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샘씨엔에스는 반도체 웨이퍼 메모리 테스트 장비업체인 와이씨가 2016년 삼성전기 세라믹 사업부를 인수하면서 출범했다. 와이씨 창업주인 최명배 회장의 장녀인 최유진 부회장이 경영을 이끌고 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이 한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24일 다시 한번 낮췄다.지난 8일 0.9%에서 0.7%로 내린 데 이어 이날 0.5%로 추가 하향했다.박석길 JP모건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발표한 '한국: 관세 충격 전 GDP 성장과 분투(struggled)' 보고서를 통해, 이번 전망치 조정의 배경으로 내수와 수출 부진을 지목했다.그는 "건설 사이클 지연과 2024년 4분기 및 2025년 1분기의 정치적 소란(noise)으로 내수 회복이 늦어졌다"고 설명했다.이어 "지난 두 분기 동안 실질 수출 성장도 기대에 못 미쳤다"며 "관세 충격을 앞두고 예상했던 견조한 출하량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2분기에는 기저효과로 인해 민간 소비와 서비스 부문에서 기술적인 반등이 있겠지만, 상호 관세를 앞둔 상황에서는 수출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또한 "정책 조정이 앞으로 성장 동력을 제공하겠지만, 외부 수요의 역풍이 더욱 거세질 전망"이라며, "이러한 환경을 감안해 우리는 4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그러면서 "GDP 성장률 데이터와 전망은 한국은행이 현재 내비치는 기조보다 더 많은 선제적(front-loaded) 조치를 해야 한다고 본다"면서도 "금융 불균형과 외환 안정성에 대한 한국은행의 신중한 입장을 고려해, 우리는 2026년 2분기까지 분기별 25bp(1bp=0.01%포인트)씩의 인하 전망을 유지한다"고 밝혔다.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