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어지는 서울 강북 도심권] 마포 인구 15% 늘 때 신생아 30% 급증…왕십리 평균연령 1.5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뉴타운 새 아파트 효과
낙후된 이미지서 환골탈태
여의도·광화문 출퇴근 쉬워 젊은 맞벌이 부부 몰려
낙후된 이미지서 환골탈태
여의도·광화문 출퇴근 쉬워 젊은 맞벌이 부부 몰려
서울 종로 종각역 인근 대형 빌딩 ‘그랑서울’의 지하상가엔 다양한 종류의 식당이 있어 평일 점심시간이면 종로·광화문 일대 직장인들로 북적인다. 그런 이곳에 유모차를 끌거나 어린아이를 동반한 주부 두세 명이 함께 식사하는 광경이 최근 1~2년 전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빌딩 관계자들은 말한다. 이 건물에 입주한 GS건설의 임세정 홍보팀 차장은 “3~4년 전만 해도 어린 자녀 손을 잡은 주부들이 주중에 나타나면 다들 신기한 듯 쳐다봤는데 요즘엔 낯설지도 않다”고 말했다.
도심 업무지역 내 상가에 이른바 ‘유모차 부대’까지 등장한 것은 종로 광화문 등 서울 강북 도심과 가까운 동대문·마포·성동구 등에서 뉴타운·재개발 사업이 활발히 이뤄진 것과 관련이 깊다는 게 부동산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낡은 주거지가 새 아파트 단지로 정비되면서 직주근접(職住近接)형 주택을 찾는 20~40대 젊은 중산층이 대거 유입됐다는 설명이다. ▲여기를 누르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평균 연령 낮아진 왕십리뉴타운
서울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 북쪽에 있는 왕십리동은 3~4년 전까지만 해도 주거 선호도가 떨어지는 곳이었다. 동대문·종로·광화문 등 도심과 가깝고 성수대교를 건너면 바로 강남지역으로 이어지지만 낡은 주택과 지저분한 골목으로 기억되던 동네였다.
그러나 최근 분위기가 달라졌다. 작년 초 왕십리뉴타운 2구역, 올 4월엔 1구역 사업이 끝나 아파트 입주가 이뤄지면서 이곳은 2800여가구의 새 아파트 단지 ‘텐즈힐’로 변했다. 내년 말 3구역 단지(센트라스) 2700여가구까지 입주하면 이곳은 5600여가구 대단지로 탈바꿈하게 된다. 왕십리도선동 주민 평균 연령이 최근 2년 새 성동구 17개동 중에서 유일하게 내려간 배경이다.
신영미 청계공인중개사무소 실장은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59~84㎡ 아파트 매매가는 5억~7억원대, 임대료는 보증금 1억원에 월 130만~180만원 선으로 높은 편이어서 장년층 원주민 상당수는 집을 팔거나 세를 놓고 다른 곳으로 이사했다”고 말했다. 신 실장은 “도심권 직장으로 출퇴근하는 20~40대 맞벌이 부부와 동대문 패션 타운 쪽에서 장사하는 젊은 층이 많이 입주했다”고 귀띔했다. 단지 내 상가에서 반찬가게를 운영하는 진성숙 씨도 “개업한 지 6개월 됐는데 젊은 엄마들이 많아 장사하기 좋다”고 말했다. 아파트 상가엔 커피숍, 아동복 판매점, 미용실, 마사지숍 및 네일숍, 소아과 등이 특히 많았다.
○재개발된 마포 출생아 수 30% 껑충
마포자이2차, 래미안 밤섬리베뉴1·2차, 래미안 마포리버웰, 마포 래미안푸르지오(이상 2014년 입주), 공덕파크자이, 공덕자이, e편한세상마포3차(이상 2015년 입주) 등 최근 2년 동안 8000여가구, 2010년부터 5년간 1만4000여가구가 새로 입주한 마포구는 젊은 층이 늘어나면서 신생아 수도 증가했다.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 통계에 따르면 마포구 아현·공덕·대흥·용강 4개동의 인구는 지난달 말 현재 10만2184명으로 2013년 말 대비 15.4% 증가했다. 이에 비해 신생아 수는 급증했다. 2013년 11월~2014년 10월 4개동의 신생아는 863명이었으나 올해(2014년 11월~2015년 10월)에는 1122명으로 30% 넘게 늘어났다. 같은 기간 왕십리뉴타운 일대도 인구는 2년 새 22.8% 늘었지만 출생아는 37.3% 증가했다. 전농·답십리 재정비촉진지구로 새 아파트가 공급된 답십리1,2동에서도 인구는 8.3%, 출생아는 18.2% 늘었다. 거주자 중 젊은 층 비율이 높아졌다는 방증이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과거 도심이 상업·업무지역으로 변하면서 도심 속 주거지는 슬럼화되는 경향이 강했고 주민들도 쾌적한 외곽으로 이동해 도심 공동화 현상이 빚어졌다”며 “그러나 도심권 주거지역이 재정비되면서 젊은 층과 함께 경제력을 갖춘 인구가 돌아오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
도심 업무지역 내 상가에 이른바 ‘유모차 부대’까지 등장한 것은 종로 광화문 등 서울 강북 도심과 가까운 동대문·마포·성동구 등에서 뉴타운·재개발 사업이 활발히 이뤄진 것과 관련이 깊다는 게 부동산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낡은 주거지가 새 아파트 단지로 정비되면서 직주근접(職住近接)형 주택을 찾는 20~40대 젊은 중산층이 대거 유입됐다는 설명이다. ▲여기를 누르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평균 연령 낮아진 왕십리뉴타운
서울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 북쪽에 있는 왕십리동은 3~4년 전까지만 해도 주거 선호도가 떨어지는 곳이었다. 동대문·종로·광화문 등 도심과 가깝고 성수대교를 건너면 바로 강남지역으로 이어지지만 낡은 주택과 지저분한 골목으로 기억되던 동네였다.
그러나 최근 분위기가 달라졌다. 작년 초 왕십리뉴타운 2구역, 올 4월엔 1구역 사업이 끝나 아파트 입주가 이뤄지면서 이곳은 2800여가구의 새 아파트 단지 ‘텐즈힐’로 변했다. 내년 말 3구역 단지(센트라스) 2700여가구까지 입주하면 이곳은 5600여가구 대단지로 탈바꿈하게 된다. 왕십리도선동 주민 평균 연령이 최근 2년 새 성동구 17개동 중에서 유일하게 내려간 배경이다.
신영미 청계공인중개사무소 실장은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59~84㎡ 아파트 매매가는 5억~7억원대, 임대료는 보증금 1억원에 월 130만~180만원 선으로 높은 편이어서 장년층 원주민 상당수는 집을 팔거나 세를 놓고 다른 곳으로 이사했다”고 말했다. 신 실장은 “도심권 직장으로 출퇴근하는 20~40대 맞벌이 부부와 동대문 패션 타운 쪽에서 장사하는 젊은 층이 많이 입주했다”고 귀띔했다. 단지 내 상가에서 반찬가게를 운영하는 진성숙 씨도 “개업한 지 6개월 됐는데 젊은 엄마들이 많아 장사하기 좋다”고 말했다. 아파트 상가엔 커피숍, 아동복 판매점, 미용실, 마사지숍 및 네일숍, 소아과 등이 특히 많았다.
○재개발된 마포 출생아 수 30% 껑충
마포자이2차, 래미안 밤섬리베뉴1·2차, 래미안 마포리버웰, 마포 래미안푸르지오(이상 2014년 입주), 공덕파크자이, 공덕자이, e편한세상마포3차(이상 2015년 입주) 등 최근 2년 동안 8000여가구, 2010년부터 5년간 1만4000여가구가 새로 입주한 마포구는 젊은 층이 늘어나면서 신생아 수도 증가했다.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 통계에 따르면 마포구 아현·공덕·대흥·용강 4개동의 인구는 지난달 말 현재 10만2184명으로 2013년 말 대비 15.4% 증가했다. 이에 비해 신생아 수는 급증했다. 2013년 11월~2014년 10월 4개동의 신생아는 863명이었으나 올해(2014년 11월~2015년 10월)에는 1122명으로 30% 넘게 늘어났다. 같은 기간 왕십리뉴타운 일대도 인구는 2년 새 22.8% 늘었지만 출생아는 37.3% 증가했다. 전농·답십리 재정비촉진지구로 새 아파트가 공급된 답십리1,2동에서도 인구는 8.3%, 출생아는 18.2% 늘었다. 거주자 중 젊은 층 비율이 높아졌다는 방증이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과거 도심이 상업·업무지역으로 변하면서 도심 속 주거지는 슬럼화되는 경향이 강했고 주민들도 쾌적한 외곽으로 이동해 도심 공동화 현상이 빚어졌다”며 “그러나 도심권 주거지역이 재정비되면서 젊은 층과 함께 경제력을 갖춘 인구가 돌아오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