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는 남북간 포격 사건과 이후 대치 상황에 깊은 우려를 나타내며 조속한 사태 해결을 촉구했다. 해결 방안에 대해서는 각국별로 견해차를 보였다. 각국 언론들은 이번 사태를 주요 뉴스로 다루며 한반도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했다.

미국과 일본은 북한에 자제를 요구했다. 애덤스 카티나 미 국무부 동아시아담당 대변인은 20일(현지시간) “북한은 역내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언행을 자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 국방부는 “북한이 한반도 상황을 위험하게 만들고 있다”며 “미국은 (필요할 경우) 미군과 그 가족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신중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일본 정부도 20일 각료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을 통해 “이번 (북한의) 행위를 강하게 우려하고 있으며 북한은 이런 도발 행위를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는 ‘침묵 모드’다. 최근 한반도 긴장 상황이 10여일 앞으로 다가온 ‘항일전쟁 승전 70주년(전승절)’ 열병식에 대형 악재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가에선 중국이 남북한 ‘물밑 중재’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남북한 모두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는 행동을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 특히 무력충돌만은 피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 CNN은 “한반도가 준(準)전시 상태로 접어들고 있다”면서도 “정전 상태인 한국에선 지난 60년간 이런 일이 끊임없이 반복됐다”고 전했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북한 포격 후 한국에서 강제징집령 루머가 돌았다”며 “한국인들이 차분히 대응하는 것 같지만 내심으로는 불안해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별도 논평 없이 신속한 사태 전달에만 주력하고 있다. 홍콩 봉황망(鳳凰網)과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環球時報) 등도 긴급 속보를 계속 내보내고 있다. 봉황망은 관련 기사에 ‘조선(북한)이 한국에 최후통첩을 보냈다’는 제목을 달았고 한반도 상황만 다룬 별도 섹션을 내기도 했다.

워싱턴=박수진/도쿄=서정환/베이징=김동윤 특파원 p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