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병 연구 '가톨릭의대인 賞' 받은 김동욱 서울성모병원 교수 "표적항암제 반대했던 스승, 이제는 강력한 후원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레지던트 2년차 때 만난 환자
백혈병 치료에 매진한 계기 돼
표적항암제 2·3세대 연구 개발
백혈병 치료에 매진한 계기 돼
표적항암제 2·3세대 연구 개발
30년 동안 백혈병 연구의 한우물을 파온 김동욱 서울성모병원 교수(가톨릭 암연구소장· 사진)가 최근 ‘제13차 자랑스러운 가톨릭 의대인’ 상을 받았다. 김 교수는 “환자는 의사에게 영원한 스승이자 가장 훌륭한 교과서”라며 “당장 눈앞의 이익보다는 환자를 항상 우선시하는 의료인이 많아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2003년부터 일양약품과 함께 개발해 온 2세대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슈펙트’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슈펙트는 인류 최초의 표적항암제이자 1세대 백혈병 치료제인 ‘글리벡’이 듣지 않는 내성 환자를 대상으로 한 2차 치료제다. 현재 임상은 1차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단계다. 이 약은 효과 대비 저렴한 가격이 최대 장점이다. 값을 싸게 매기게 된 데는 김 교수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BCR-ABL’이라는 비정상 단백질이 갑자기 생기면서 발병하는데, 이를 진단하는 기술을 선도한 것도 김 교수다. 단 급성골수성백혈병은 발병 원인이 무척 다양해 특정 치료제 개발이 불가능하다.
혈액내과가 전공인 그는 레지던트 2년차 때 만난 환자를 잊지 못한다. “백혈병에 걸렸다 골수이식을 받았는데 부작용이 생긴 환자를 맡게 됐어요. 몇 달간 중환자실에서 거의 살다시피 하며 돌봐드렸는데 결국 회복됐죠. 나중에는 재발해 결국 돌아가신 걸로 아는데, 그분 때문에 백혈병 치료에 삶을 걸게 된 것 같습니다.”
김 교수의 지도교수였던 김춘추 전 서울성모병원 교수와는 그야말로 ‘애증’의 관계다. 조혈모세포 이식(골수이식)의 권위자였던 김 전 교수는 그의 표적항암제 연구를 달갑지 않게 여겼다. ‘골수 이식만이 완치가 가능하며 혈액암에 있어 치료제는 의학적으로 완전하지 않다’는 게 김 전 교수의 지론이었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그러나 표적항암제 개발의 뜻을 굽히지 않았고 이 때문에 김 전 교수와 갈등을 거듭하다 한때 다른 지역 성모병원으로 쫓겨나기도 했다.
“종합병원 의사들이 가장 황망할 때가 갑작스레 인사가 날 때입니다. 돌보던 환자, 쓰던 시설, 진행하던 연구가 중단되면 그야말로 낙동강 오리알이 되거든요. 그때 참 답답하고 힘들었습니다.” 근무 병원이 바뀌었지만 임상을 멈출 수 없어 백방으로 뛰며 간신히 연구를 이어갔다. 결국 김 교수의 뚝심은 통했고, 국내 최초 표적항암제 개발을 앞두고 있다. 김 전 교수는 현재 김 교수의 가장 열성적인 ‘팬’으로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 교수는 글리벡, 슈펙트로도 듣지 않는 환자 대상 3세대 치료제도 개발하고 있다. 또 아시아 만성골수성백혈병등록소 소장으로서 방대한 환자 자료를 관리하며 국제 연구와 임상을 주도하고 있다. 백혈병 환자 모임인 ‘루 산우회’에도 참여해 주말 등산을 함께하기도 한다. 김 교수는 “‘자꾸 아파서 미안해’라는 환자들 수기를 모아 펴낸 적이 있는데 조만간 ‘자꾸 아파도 괜찮아’라는 수기를 새로 낼 생각”이라며 “만성골수성백혈병은 나을 수 있다. 희망을 놓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김 교수는 2003년부터 일양약품과 함께 개발해 온 2세대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슈펙트’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슈펙트는 인류 최초의 표적항암제이자 1세대 백혈병 치료제인 ‘글리벡’이 듣지 않는 내성 환자를 대상으로 한 2차 치료제다. 현재 임상은 1차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단계다. 이 약은 효과 대비 저렴한 가격이 최대 장점이다. 값을 싸게 매기게 된 데는 김 교수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BCR-ABL’이라는 비정상 단백질이 갑자기 생기면서 발병하는데, 이를 진단하는 기술을 선도한 것도 김 교수다. 단 급성골수성백혈병은 발병 원인이 무척 다양해 특정 치료제 개발이 불가능하다.
혈액내과가 전공인 그는 레지던트 2년차 때 만난 환자를 잊지 못한다. “백혈병에 걸렸다 골수이식을 받았는데 부작용이 생긴 환자를 맡게 됐어요. 몇 달간 중환자실에서 거의 살다시피 하며 돌봐드렸는데 결국 회복됐죠. 나중에는 재발해 결국 돌아가신 걸로 아는데, 그분 때문에 백혈병 치료에 삶을 걸게 된 것 같습니다.”
김 교수의 지도교수였던 김춘추 전 서울성모병원 교수와는 그야말로 ‘애증’의 관계다. 조혈모세포 이식(골수이식)의 권위자였던 김 전 교수는 그의 표적항암제 연구를 달갑지 않게 여겼다. ‘골수 이식만이 완치가 가능하며 혈액암에 있어 치료제는 의학적으로 완전하지 않다’는 게 김 전 교수의 지론이었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그러나 표적항암제 개발의 뜻을 굽히지 않았고 이 때문에 김 전 교수와 갈등을 거듭하다 한때 다른 지역 성모병원으로 쫓겨나기도 했다.
“종합병원 의사들이 가장 황망할 때가 갑작스레 인사가 날 때입니다. 돌보던 환자, 쓰던 시설, 진행하던 연구가 중단되면 그야말로 낙동강 오리알이 되거든요. 그때 참 답답하고 힘들었습니다.” 근무 병원이 바뀌었지만 임상을 멈출 수 없어 백방으로 뛰며 간신히 연구를 이어갔다. 결국 김 교수의 뚝심은 통했고, 국내 최초 표적항암제 개발을 앞두고 있다. 김 전 교수는 현재 김 교수의 가장 열성적인 ‘팬’으로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 교수는 글리벡, 슈펙트로도 듣지 않는 환자 대상 3세대 치료제도 개발하고 있다. 또 아시아 만성골수성백혈병등록소 소장으로서 방대한 환자 자료를 관리하며 국제 연구와 임상을 주도하고 있다. 백혈병 환자 모임인 ‘루 산우회’에도 참여해 주말 등산을 함께하기도 한다. 김 교수는 “‘자꾸 아파서 미안해’라는 환자들 수기를 모아 펴낸 적이 있는데 조만간 ‘자꾸 아파도 괜찮아’라는 수기를 새로 낼 생각”이라며 “만성골수성백혈병은 나을 수 있다. 희망을 놓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