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임대주택 리츠 성공하려면
“정책을 만들다 보면 수요예측을 잘못할 때가 있는데 오늘 그런 것 같습니다. 다음에는 좀 더 넓은 장소를 마련하겠습니다.”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회관에서 열린 ‘임대주택 리츠(부동산 투자회사) 투자설명회’에서 김재정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관은 첫마디를 이렇게 시작했다. 꽤 넓은 홀이었는데도 사람들이 꽉 차서 국토부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 관계자들은 홀 밖으로 나가야 했다.

지난해 정부가 임대주택 리츠를 도입키로 한 것은 그동안 공공이 맡았던 임대주택 공급에 민간자본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다. 국토부는 이날 “사업구조를 표준화해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하겠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대한 참석자들의 평가는 나쁘지 않았다. 고연석 한국투자증권 프로젝트금융본부 상무는 “1차 설명회 때보다 많은 부분을 보완해 상품 구조가 안정적”이라며 “대체상품에 투자하는 기관투자가는 고려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작 ‘투자하겠느냐’는 질문에는 대부분 머뭇거렸다. 이들은 한결같이 ‘수익률’을 걸림돌로 꼽았다. 국토부가 제시한 임대주택 리츠의 수익률은 연5~6%다. 민간이 운용하고 있는 일반 리츠(6.5~8%)보다 낮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리츠는 LH가 간접 보장하는 채권투자와 비슷하다”며 “예상 수익률이 낮아 별 매력이 없다”고 평가했다. 송상훈 한국교직원공제회 부동산투자팀 차장은 “기관마다 어느 정도 목표 수익률이 있는데 공제회의 경우 조달 금리를 감안하면 수익률을 충족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지적했다.

임대주택 리츠의 성패는 기관투자가의 자본을 끌어들이느냐에 달려 있다. 그러나 이런 반응이라면 공들여 도입한 정책이 제구실을 못할 수도 있다.

리츠업계에서는 이번 사업이 일회성 시범사업을 끝으로 흐지부지되는 것을 걱정하고 있다. 기관투자가들이 임대주택 리츠 시장에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한다면 그 다음부터는 정부가 굳이 나서지 않아도 투자가 이뤄질 것이다. 전·월세 시장 안정에도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수익률 개선 등 민간의 목소리에 좀 더 귀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이현진 건설부동산부 기자 ap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