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버는 풍수] 한옥에 깃든 풍수의 지혜
우리 조상들은 자연의 정수를 포착해 한국적인 것을 재창조하는 데 능했다. 집을 지을 때도 풍수를 가장 먼저 고려했다.

우선 집터를 잡을 때 산기슭에 바짝 붙여 자연친화적인 삶의 공간을 확보했다. 집터의 뒤가 높고 앞이 낮으면 일조량이 우수해 겨울에 따뜻하다. 뒷산의 무성한 나무는 물과 흙을 보호·유지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해준다. 집 앞에는 넓은 들과 시내가 있으니 문전옥답을 경작하기 유리하다. 여름에는 남동풍이 불어와 시원하다. 주거의 적지로 배산임수(背山臨水)가 꼽히는 이유다.

지형이 좋더라도 온전한 터에 집을 지어야 하고 땅의 기운도 손상돼서는 안 된다. 그래서 터를 고를 때는 땅의 경사도에 맞추되, 경사지를 단(terrace)으로 깎은 뒤 단면에는 돌계단이나 대를 높여 자연스럽게 고저차가 있는 집을 지었다.

그 결과 한옥의 건물 배치는 지대가 가장 낮은 곳에 대문을 두고 그 위쪽에 개방공간인 사랑채가 있다. 안방은 지대가 높고 대문에서 멀리 떨어져 기가 안정된 곳에 머문다.

후원을 중시하는 것도 한옥 정원만의 독특한 특징이다. 주산(主山)에 저장된 지기는 지맥을 쫓아 흘러가다 물을 만나면 멈춰 혈을 맺는다. 따라서 자손 대대로 복록을 누리며 살 집은 지맥이 흘러드는 곳에 지어야 한다. 지맥이 끊어져 지기가 훼손되면 부귀영화가 오래가지 못한다는 게 풍수지리의 원칙이다.

후원은 뒷산에서 집으로 뻗어온 지맥을 온전히 보존하면서 그 지기를 받아 훌륭한 인물이 태어날 것을 기대하는 풍수적 목적을 담고 있다. 후원에 꽃 계단을 설치해 좁은 공간에서 수직적 변화를 느끼도록 했다. 수목과 석물을 이용해 계절의 변화도 감지할 수 있도록 장식했다.

한옥은 남녀의 공간뿐만 아니라 건물 채와 마당의 단위로까지 공간이 구분된다. 사랑채 마당에서 안채로 들어가는 중문은 대문보다 규모가 작으며 내외 벽을 쌓아 입구와 출구를 엇갈려 배치한다. 이것은 사랑 마당의 바람이 안채로 직접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고, 외부인이 안채를 쉽게 들여다보지 않도록 해 여성들의 사생활을 보장해준다.

한옥의 가장 큰 장점은 환경친화적이라는 점이다. 천연 건축자재를 사용하니 공해가 없다. 한옥을 지을 때는 나무와 흙이 주된 재료다. 수명이 다한 한옥을 헐어낼 때도 이들 폐자재는 흙이나 땔나무로 재활용되니 환경 공해가 생길 리 없다. 하지만 현대 건축물은 그리 환경친화적이지 못하다.

현대 건축물은 화재 시에 독가스를 내뿜어 사람을 질식시키지만, 한옥은 독가스를 배출하지 않는다. 화재 시 인명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다. 한옥은 목재를 짜 맞춰 지은 집이어서 내진력(耐震力)도 뛰어나다.

주택을 지을 때는 자연의 고유한 가치를 살펴 그 질서와 목표에 순응하는 자연친화적인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지금처럼 서양의 개발과 생활 방식만을 답습하다보면 생태계 파괴라는 재앙이 심화될 게 뻔하다.

고제희 < 대동풍수지리학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