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보업계 "숨통 트였지만 지켜봐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네이버 매물정보 서비스 개편
구체적 상생 가이드라인 없어
구체적 상생 가이드라인 없어
국내 최대 인터넷 포털사이트인 네이버가 ‘골목상권’ 침해 논란을 빚어온 자체 부동산 매물 정보 서비스를 개편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경영 악화와 높은 광고비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던 부동산 정보업계와 중개업계는 일단 “숨통이 트였다”며 안도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네이버가 부동산 정보업에서 완전히 손을 떼는 게 아니라 부동산 정보업체들의 매물 정보를 유통하는 방향으로 개편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상생’ 여부는 지켜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네이버의 이번 발표가 부동산 시장에서의 ‘철수’가 아니라 그동안 독점하던 수익을 일정 부분만 정보업체와 나눠 갖겠다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상생’을 주장하지만 매물정보 서비스 개편 이후의 구체적인 내용과 가이드 라인도 없어 정보업체들은 네이버의 조치를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앞으로 네이버가 정보업체를 통해 매물 정보를 올리더라도 부동산 온라인 유통망인 ‘네이버 부동산’의 영향력은 사실상 그대로 유지돼 경쟁에서 밀리는 정보업체들의 경영사정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지 않아서다.
네이버가 2009년 부동산 정보업에 진출한 이후 중개업소로부터 연회비를 받고 시세와 매물 정보를 제공하던 부동산 정보업체들은 생존 위기에 몰렸다. 대표적 정보업체인 부동산114와 부동산1번지의 작년 매출은 각각 88억원과 9억원으로 2011년보다 각각 42%와 80%나 급감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네이버의 부동산 매물 정보 서비스 철수로 일단 정보업계의 고사는 막을 수 있게 됐다”면서도 “네이버가 부동산 사업 자체에서 철수하는 것은 아닌 만큼 추후 협의 과정을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부동산 중개업계도 네이버가 책정한 과도한 광고비 때문에 몸살을 앓았다. 서울 강남권의 경우 네이버 부동산에 매물 1건을 올리려면 1만원 이상 내야 하고, 광고 효과가 좋은 프리미엄 회원업소로 등록하려면 6개월에 1000만원, 1년이면 2000만원을 지급해야 했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네이버가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우선 부동산 사업을 축소하기로 결정한 것”이라며 “구체적인 협상 내용을 살펴봐야 ‘상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하지만 네이버가 부동산 정보업에서 완전히 손을 떼는 게 아니라 부동산 정보업체들의 매물 정보를 유통하는 방향으로 개편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상생’ 여부는 지켜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네이버의 이번 발표가 부동산 시장에서의 ‘철수’가 아니라 그동안 독점하던 수익을 일정 부분만 정보업체와 나눠 갖겠다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상생’을 주장하지만 매물정보 서비스 개편 이후의 구체적인 내용과 가이드 라인도 없어 정보업체들은 네이버의 조치를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앞으로 네이버가 정보업체를 통해 매물 정보를 올리더라도 부동산 온라인 유통망인 ‘네이버 부동산’의 영향력은 사실상 그대로 유지돼 경쟁에서 밀리는 정보업체들의 경영사정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지 않아서다.
네이버가 2009년 부동산 정보업에 진출한 이후 중개업소로부터 연회비를 받고 시세와 매물 정보를 제공하던 부동산 정보업체들은 생존 위기에 몰렸다. 대표적 정보업체인 부동산114와 부동산1번지의 작년 매출은 각각 88억원과 9억원으로 2011년보다 각각 42%와 80%나 급감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네이버의 부동산 매물 정보 서비스 철수로 일단 정보업계의 고사는 막을 수 있게 됐다”면서도 “네이버가 부동산 사업 자체에서 철수하는 것은 아닌 만큼 추후 협의 과정을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부동산 중개업계도 네이버가 책정한 과도한 광고비 때문에 몸살을 앓았다. 서울 강남권의 경우 네이버 부동산에 매물 1건을 올리려면 1만원 이상 내야 하고, 광고 효과가 좋은 프리미엄 회원업소로 등록하려면 6개월에 1000만원, 1년이면 2000만원을 지급해야 했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네이버가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우선 부동산 사업을 축소하기로 결정한 것”이라며 “구체적인 협상 내용을 살펴봐야 ‘상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